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5.31 지방선거 참패이후 열린우리당 지도부와 만나 "당적을 유지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6일 확인됐다.

노 대통령은 지난 3일 청와대를 찾은 정동영(鄭東泳) 전 의장과 김한길 원내대표를 만난 자리에서 "선거 참패후 당이 이렇게 어렵게 됐는데 떠나는 것은 모양이 좋지 않다"며 이같이 언급했다고 여당의 한 핵심 관계자가 말했다.

김 원내대표도 5일 저녁 중진회의에서 청와대 회동 결과를 참석자들에게 설명하면서 노 대통령의 `당적 유지' 입장을 명확히 전달했다고 당시 회의 참석자들이 전했다.

지방선거 참패후 여권발 정계개편설과 함께 `노대통령 탈당설'이 설득력있게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노 대통령이 직접 `당적 유지' 입장을 밝힌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향후 여당 내부의 움직임이 주목된다.

특히 열린우리당내에서는 노 대통령이 탈당하는 순간 여당 프리미엄을 상실하는 동시에 급속히 정계개편의 격랑에 빨려들 소지가 있고, 노 대통령 역시 당장 오는 9월 정기국회에서 우리당의 협력을 받아야하는 상황이어서 노 대통령의 탈당은 금년말 이후, 또는 내년 초에나 가능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정태호(鄭泰浩) 청와대 대변인은 노 대통령의 '당적 유지' 발언 확인 요청에 대해 공식적으로 시인도 부인도 하지 않았다.

그러나 청와대 관계자는 이와 관련, "선거 이후에 대통령의 탈당이나 당적문제는 새롭게 검토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그런 맥락에서 탈당을 하지 않겠다는 취지의 언급을 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 언급에 대해 유재건(柳在乾) 전 의장은 "너무도 당연한 것"이라고 말했고, 유선호(柳宣浩) 의원도 "민심을 수렴하는 유연한 자세를 보이면서 정기국회에서 국민 요구에 잘 부응한다면 희망의 불씨를 살려낼 수 있을 것"이라고 환영했다.

반면 수도권의 한 초선의원은 "고건 신당이나, 민주당과의 통합 논의 등의 과정에서 노 대통령의 탈당 가능성은 여전히 상존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류지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