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구글의 경영진이 `연봉 1달러' 를 내년에도 고수한다고 발표해 관심을 모은 가운데 `연봉 1달러'는 이제 거부(巨富)의 상징이라는 새로운 의미로 다가오고 있다고 로스앤젤레스 타임스가 26일(이하 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너스나 스톡옵션도 없이 순수하게 연봉으로 1달러를 받는 기업가들은 구글의 공동 창업자인 세르게이 브린과 래리 페이지, 구글의 최고경영자(CEO)인 에릭 슈미트 이외에도 에너지회사 킨더 모건의 공동 창립자 리처드 킨더, 애플컴퓨터의 스티브 잡스 CEO, 드림웍스 SKG의 제프리 카젠버그 CEO와 로저 엔리코 이사회 의장 등이다.

대부분 기업의 창립자인 이들의 공통점은 이미 자신들이 세운 회사 지분을 통해 엄청난 부를 축적한 거부라는 것.

2차세계대전 당시 `연봉 1달러'는 전시에 개인 희생의 중요성을 알리는 역할을 했고 1970년대말 크라이슬러의 리 아이아코카 등이 기업 회생을 위해 발버둥칠 때에는 주주들에게 확신을 심어주기 위해 일부 CEO들이 실행하기도 했다.

하지만 지금은 "모든 책임을 진다"는 다른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즉 오늘날 많은 경영진들이 상당한 회사 지분을 갖고 있는 상황에서 개인의 부가 회사의 성공과 연관돼 있다.

톰슨파이낸셜에 따르면 구글의 브린과 페이지는 2004년 주식공개 이후 현금으로 22억달러와 18억달러를, 슈미트는 6억4천500만달러를 각각 챙겼으며 브린과 페이지가 각각 보유중인 주식 가치는 130억달러, 슈미트는 50억달러에 이른다.

또 잡스의 애플 지분 가치는 6억7천만달러이고 평가액이 20억달러가 넘는 주식을 갖고 있는 킨더는 올해 2천400만주의 주식 배당금으로 8천400만달러를 받기로 돼 있으며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라틴계 미디어 회사인 유니비전의 제럴드 페렌키오 의장 겸 CEO는 1달러의 연봉도 받지않지만 회사 가치가 13억달러에 이른다.

이런 현상에 대해 그레이프 크리스털 분석가는 "지분 소유자가 `나는 평생 쓸 돈을 갖고 있으니 1달러만 줘도 행복해'하고 말하는 제스처에 불과하다"고 지적한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회사가 어려움에 있을 지라도 높은 연봉에 별도의 보수까지 챙기려는 이들보다는 훨씬 나은 것이며 `연봉 1달러'를 실행한다는 것은 좋은 평판을 얻을 가치가 있다고 지적한다.

실제로 홈디포의 로버트 나델리 CEO의 경우 최근 2년간 5천70만달러를 챙겼지만 회사 주식은 5년간 19%나 떨어졌으며 루슨트 테크놀로지의 주식도 이 기간 무려 82%나 폭락했지만 패트리샤 루소 CEO는 최근 2년간 1천730만달러를 받았다.

한편 연봉 1달러는 경리부 직원들을 골치아프게 하는데, 예를 들어 어떻게 1달러를 지급할 것인지, 적절한 세금 보고 방식은 있는지 등이다.

구글의 경우 2주일마다 경영진들에게 세금을 떼지않고 일단 4센트씩 지급하고 있고 킨더는 매년 시작과 함께 아예 세금을 뗀 93센트를 수령한다.

킨더 모건의 릭 레이니 대변인은 "창립자는 1달러를 위해 열심히 일한다.우리는 그가 (더 열심히 일하기 위해) 그 돈을 쓰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장익상 특파원 isja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