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장고 금형을 좀 더 정교하게 설계하세요."

"휴대폰 LCD창을 지금보다 더 크게 만들수는 없나요?"

지난 4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 GS타워에 있는 LG전자 디자인경영센터. 이날 구본무 LG그룹 회장은 김쌍수 LG전자 부회장을 대동하고 전자제품 디자인 개발 현황을 점검했다.

휴대폰 에어컨 냉장고 등을 둘러보던 구 회장은 금형은 물론,색상과 디자인 등 세세한 곳까지 들여다보면서 담당 임원들에게 질문을 던졌다.

여성 임원으로 휴대폰 디자인을 맡고 있는 김진 LG전자 상무는 "회장이 세심한 부분까지 들여다보면서 전문가도 알기 어려운 부분까지 짚어가며 질문하는 바람에 진땀이 날 정도였다"고 전했다.

구 회장에게 제품설명을 했던 김진 LG전자 상무(여)는 "회장이 세심한 부분까지 들여다보면서 금형 등 전문가도 알기 어려운 부분까지 질문하는 통에 진땀이 날 정도였다"고 전했다.

12일 LG그룹에 따르면 구본무 LG 회장이 최근 디자인 현장 챙기기에 몸소 나섰다.

올해 초 'LG의 혼을 담은 디자인을 개발할 것'을 각 계열사 사장단에게 강도높게 주문한 데 이어 최근 각 사의 디자인센터를 직접 둘러보며 점검에 나선 것.

그는 지난 4일 역삼동 GS타워에 있는 LG전자 디자인경영센터를 찾은 데 이어 11일 논현동에 있는 LG화학 인테리어 디자인센터를 잇따라 방문했다.

구 회장의 이번 현장방문은 올 초 각 계열사 사장들에게 경영화두로 제시한 '고객가치 중심 경영'을 체질화하기 위함이다.

구 회장은 이번 방문에서는 "고객의 감성을 사로잡고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시킨 디자인을 개발할 것"을 현장 임원 및 디자이너들에게 주문하며 "기술이 평준화되고 있는 만큼 이제는 '보기에 좋은(nice)' 제품 개발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LG전자 디자인경영센터를 방문한 자리에서 구 회장은 LCD TV와 PDP TV,모니터,휴대폰 등의 기능을 자세히 살펴보며 장·단점을 지적했다.

지난해 출시된 LG전자의 '초콜릿 폰'에 대해 극찬을 아끼지 않은 반면 냉장고와 세탁기 등에 대해서는 금형기술이 부족하다고 일침을 놨다.

특히 LG전자의 최신 냉장고를 5분 동안 외부는 물론 내부까지 꼼꼼히 들여다보며 문제점을 지적해 주위 관계자를 긴장시켰다.

구 회장은 지난 11일 LG화학의 인테리어디자인센터를 방문한 자리에서도 바닥재 벽지 붙박이 가구 등 각종 인테리어 제품의 특징을 물어보고 고객들이 어떤 제품을 선호하는지를 자세히 물었다.

이어 "제품을 모델하우스 등에 미리 설치해,실제로 적용했을 때 어떤 모습이 될지 보여줄 수 있느냐"고 제안하기도 했다.

디자이너에 대한 처우 개선도 강조했다.

그는 "초콜릿폰 등 히트 상품을 개발한 슈퍼 디자이너에게는 임원급 이상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것"을 주문했다.

한편 구 회장 방문을 계기로 LG전자는 글로벌 디자인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우수 디자인 인력을 확보하는 데 주력하기로 했다.

우선 올해부터 국내 본사 디자인경영센터를 주축으로 이탈리아 미국 인도 일본 중국 등 해외 5개지역 디자인연구소를 연결하는 '글로벌 디자인 네트워크 체제'를 강화할 계획이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