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7월 창립 10주년을 맞는 LG텔레콤은 이동통신 3사 중 꼴찌를 달리고 있다. 3,4년 전만 해도 자생력이 없어 팔릴 수밖에 없다는 말까지 들었던 기업이다. 지금도 가입자 수가 가장 적고 SK텔레콤이나 KTF에 비하면 매출 영업이익 모두 한참 뒤진다. 하지만 LG텔레콤은 요즘 코스닥에서 주목받고 있다. 코스닥 상장사 가운데 외형과 수익성이 단연 으뜸이다. LG텔레콤은 지난해 매출(3조5094억원) 영업이익(3599억원) 경상이익(2763억원) 순이익(2481억원) 등 4개 부문에서 코스닥 1위에 올랐다. 특히 수익성은 괄목할 만하다. 순이익 2481억원은 코스닥 상장사 전체 순이익 1조4209억원의 17.4%를 차지한다. 외형을 나타내는 매출도 같은 통신업체인 하나로텔레콤(1조4444억원)의 두 배가 훨씬 넘는다. 올해 3분기에는 창사 10년 만에 누적 적자(1632억원)를 모두 털어내고 알토란 같은 이익을 챙기는 '턴어라운드 기업'으로 거듭나게 된다. 후발 통신사업자인 LG텔레콤이 이렇게 달라진 것은 무엇보다 가입자 수가 꾸준히 증가했기 때문이다. 2003년 말 483만명이던 가입자 수는 664만명(2006년 3월 말)으로 늘어났다. 2004년 1월부터 '쓰던 번호 그대로 서비스 회사만 바꾸는' 번호이동제가 실시되면서 가입자가 급증했다. 최근 1년 동안 월 평균 4만8900명씩 늘었다. 2003년 말 14.4%였던 시장점유율도 17.2%로 높아졌다. 정경래 LG텔레콤 경영관리실장은 "마케팅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인 유통망을 확보한 것이 실적 향상에 크게 기여했다"고 말했다. 가입자 유치에는 소매에 강한 유통망이 큰 역할을 했다. LG텔레콤은 중간에 대형 대리점을 거치지 않고 주로 본사에서 판매점을 직접 관리한다. 다른 이동통신사 고객에게도 완전히 개방된 엔터테인먼트 체험공간 '폰앤펀' 매장이 대표적이다. '폰앤펀'은 고객이 다양한 모바일 콘텐츠를 편리하게 체험하고 각종 서비스를 한꺼번에 받는 원스톱 시스템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폰앤펀' 등 본사에서 직접 관리하는 소매 비중이 89%(2005년 11월 판매점포 수 기준)에 이른다. 대형 대리점에 의존하는 SK텔레콤과 KTF의 경우 소매 비중은 50% 수준에 불과하다. 고객이 만족할 수 있는 판매 방식으로 바꾼 것이 실적 향상으로 이어졌다는 분석도 이래서 나온다. LG텔레콤은 휴대폰에 칩을 끼워 모바일뱅킹을 하는 뱅크온과 뮤직온에 이어 지상파 DMB 등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 가고 있다. 다른 이동통신사보다 빨리 모바일뱅킹과 음악 서비스를 시작한 것.올해 들어선 지상파 DMB폰을 중심으로 마케팅 활동을 벌여 소비자들의 호응도 얻었다. 연말께면 수도권 지상파 DMB 사업자 중 하나인 SBS로부터 데이터방송 채널을 빌려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데이터방송도 시작할 계획이다. 김태완 LG텔레콤 DMB사업팀장은 "데이터방송을 통해 영화 스포츠 등 레저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등 다른 이동통신사와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회사 전체가 낭비 제거 활동을 꾸준히 벌인 것도 실적 향상에 한몫했다. LG텔레콤은 일본 자동차기업 도요타의 현장을 견학하는 '낭비 제거 혁신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연간 10조원 이상의 순이익을 내는 도요타의 낭비 제거 활동을 직접 보고 체득해 현장에 적용하자는 취지다. 전체 직원 2000여명 가운데 절반 정도가 도요타를 견학했다. LG텔레콤은 협력업체와의 상생경영도 활발하게 벌이고 있다. 콘텐츠 제공업체나 제휴사 들에 직원 교육을 해주거나 각종 인프라를 제공한다. LG텔레콤의 위치기반서비스(LBS) 협력업체인 어헤드모바일의 이미정 이사는 "LG텔레콤이 운영하는 협력사를 위한 6시그마 교육 프로그램 덕을 톡톡히 보고 있다"며 "규모가 작은 협력사들의 어려움을 잘 해결해 줘 '윈윈'할 수 있는 관계가 형성됐다"고 말했다. LG텔레콤의 성장은 후발 사업자를 보호하려는 정부의 규제정책 덕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값싼 음성통화료 비중이 값비싼 데이터통화료 비중보다 높아 수익성 증가에 한계가 있을 것이란 점도 흠이라면 흠이다. 김경모 미래에셋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LG텔레콤의 장점은 무엇보다 성장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라면서도 "투자 여력이 충분하지 않아 차세대 이동통신에 대한 투자가 부진하고 콘텐츠 차별화 능력이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최명수 기자 ma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