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카시즘은 미국 현대사의 비극으로 꼽힌다.냉전이데올로기가 지배하던 1950년대 초반 매카시 상원의원이 이른바 '레드 콤플렉스'를 이용해 뚜렷한 증거도 없이 무고한 사람들을 공산주의자로 몰아 파멸시켰다.


당시 대부분의 언론들은 침묵했지만 CBS의 앵커맨 에드워드 머로(데이빗 스트라탄)와 프로듀서 프레드 프렌들리(조지 클루니)는 ‘SEE IT NOW’란 시사프로그램을 통해 매카시즘을 비판하고 나섰다.


인기배우 조지 클루니가 출연하고 감독까지 맡아 화제가 된 '굿나잇 앤 굿럭'은 양심을 지키기 위해 매카시즘에 저항한 언론의 투쟁사에 관한 보고서다. 진실이란 드러내기도 어렵지만 타인에게 받아들여지기도 쉽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매카시즘은 애국이란 이름으로 포장돼 있지만 실상 조작된 것이었다. 그러나 근사한 외관에 이끌린 수많은 시민과 언론은 머로의 비판을 외면하거나 오히려 머로를 역공한다. 광고수주는 격감하고 프로그램은 중단위기에 처한다.


그러나 진실은 서서히 힘을 얻어 마침내 매카시즘을 무너뜨리고 만다.


머로가 뉴스 프로그램 끝에 내뱉는 "굿나잇 앤 굿럭"이란 멘트는 역설적으로 하룻밤 새 운명이 뒤바뀔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머로는 처음에는 고뇌하는 인간의 모습으로 나오지만 점차 구도자처럼 그려진다. 영화 중반까지 자욱한 담배연기에 휩싸여 있던 머로는 후반부에 로앵글(카메라를 아래에서 위를 향해 촬영하는 기법)로 포착되면서 영웅적인 이미지로 다가온다.


머로와 달리 기록화면으로만 인용되고 있는 매카시는 정반대다. 매카시는 중반부까지 대형 화면으로 등장해 마치 '빅브라더' 같은 느낌을 주지만 후반부 머로의 공격에 반론을 제기하는 매카시는 작은 TV화면을 통해 모습을 드러낸다. 그의 위세가 한풀 꺾였음을 암시하는 장치다.


머로와 매카시가 직접 대면하지 않고 화면을 통해 언쟁을 벌이는 이야기 구성은 동시대이지만 커뮤니케이션이 단절된 세계임을 보여준다.


16일 개봉.


유재혁 기자 yoo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