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계섭 < 서울대 교수·경영학 > 우리사회가 급속하게 고령화사회로 변화하면서 장래를 걱정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노후대비계획을 조사한 결과 아예 계획이 없다는 답변이 35%나 되고 특히 50대 이상이 21%나 돼 우리를 슬프게 한다. 과거와 같이 자녀에 의존하겠다는 비율은 2%에 불과한 실정으로 이제 자신이 직접 노후를 설계하겠다는 의지를 갖고 있지만 금융자산을 운용할 수 있는 지식이나 능력은 아주 부족하다고 실토하고 있다. 따라서 보유자금을 저금리의 은행예금에 집중하고 있고 증권이나 보험 부동산 등에 대한 투자비율은 매우 낮은 실정이다. 증권시장의 주가 변동이 워낙 심하고 투자손실이 컸던 투자자들은 증권투자를 도박처럼 백안시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실제로는 투자지식 없이 욕심만으로 투자하다 손실을 보는 경우가 많아 투자자 보호가 필요하다는 논란이 일고 있다. 경제발전에 따라 우리나라가 신용사회로 발전하면서 각종 선진경제제도가 신속하게 도입되고 있다. 투자자 양성과 보호를 위해 가장 필요한 수단은 투자자 교육이다.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의 금융지식은 미국 고교생보다 높지만 투자지식 수준은 아주 낮다. 특히 20대가 아주 낮은데 이는 최근 우리나라 교과과정의 변동과도 관련이 있다. 중ㆍ고교에서 경제과목의 선택비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교과시간이 절대 부족하고 교사들의 수준도 매우 낮다. 더구나 경제학 교수들이 조사에서 밝혔듯이 우리나라 경제과목의 오류도 심각한 실정이다. 대학에서도 투자교육을 받는 학생 비율은 특정학과를 제외하면 매우 낮은 실정이다. 최근 계속 발전하는 금융상품 수준은 예전에 경제관련 과목을 배운 사람조차도 이해하기 어려운 실정으로 투자자 보호를 위해 새로 교육해야 한다. 이런 실정은 비단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니다. 선진국일수록 이에 대한 문제인식과 아울러 대책을 서둘러 내놓고 있다. 미국과 일본은 교육기관은 물론 각종 비영리 민간단체들이 금융교육에 솔선하고 있다. 영국은 5년 전부터 아예 정부가 중심이 돼 민간단체와 함께 체계적으로 금융교육을 하고 있다. 영국정부는 교육부 재무부 복지부 노동부 등 각 부처 장관들이 모여 체계적인 금융교육정책을 세워 활성화시키고 있다. 우리나라 국민총생산 규모는 세계 10위권으로 발전하고 있으나 경제교육 수준은 아주 뒤떨어져 있다. 소득의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사회적으로 반기업정서가 확산돼 경제발전에 장애가 되고 있다. 금융교육의 심화 발전은 높은 반기업정서를 줄이고,기업감시나 경제발전을 위한 사회적 비용을 줄이는데 아주 유용하다. 이제 국민의 금융능력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첫째,국가 전략적인 차원에서 금융교육이 다뤄져야 하고 각종 정보 인프라를 개발,보급해야 한다. 금융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게 교과과정을 편성해 일정 수준 이상의 금융지식과 운용능력을 배양해야 한다. 둘째,이를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이 실시돼야 하는데 예를 들어 수학시간에 금융사례를 공부하는 방식으로 실제적인 운용사례를 가르쳐야 한다. 셋째,신용불량자 양산을 방지하기 위해 신용관리는 물론 신용회복을 위한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 이미 400만명 이상의 신용불량자가 경기회복을 방해하고 있다. 넷째,금융소비자 및 투자자에게 필요한 정보와 그 수준을 결정해서 정보분석능력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끝으로 개인상담 전문가 및 금융교육 전문가 양성을 위한 프로그램을 수립하고 각 교육기관의 담당역할을 분담해야 한다. 이러한 투자자 교육과 금융능력의 함양은 다가올 노령화사회나 신용관리사회에서 발전된 투자환경을 즐겁게 누리는 시민을 양성하고 선진경제로 발전시키는 첩경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