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 조작'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은 미국 피츠버그대에 제럴드 섀튼 교수의 조사결과를 보내달라고 요청키로 했다고 13일 밝혔다. 검찰 관계자는 "이번 사건의 실체 규명을 위해 피츠버그대에 섀튼 교수에 대한 조사결과 보고서 송부를 오늘 중 요청할 예정이다. 피츠버그대 보고서는 심도있게 조사할 필요가 있다. 미국에 있는 법무협력관을 통해서도 정식 요청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검찰이 피츠버그대에 조사결과 보고서를 요청키로 한 것은 섀튼 교수가 2004∼2005년 논문 작성 과정에서 부적절한 처신을 하기는 했지만 과학적인 부정행위는 없었다고 한 결론에 대해 심도있는 검증작업을 하기 위해서인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당초 이번 주초 예정했던 황우석 서울대 교수와 김선종 연구원, 윤현수 한양대 교수, 이양한 국과수 연구실장 등 `핵심 4인'에 대한 소환 조사를 다음 주 이후로 연기하기로 했다. 그 대신 검찰은 제 3자의 위치에 있는 줄기세포 연구 전문가 3∼4명을 참고인으로 불러 그간 조사된 내용에 대한 검증 작업을 벌이기로 했다. 검찰 관계자는 "이번 수사는 과학적인 영역을 다루는 것이라 일반 수사와 다르 다. 수사의 `큰 가닥'은 잡혔지만 미세한 부분에서 논란의 소지가 있어 제 3자의 위치에 있는 전문가들의 검증을 받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검찰이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키로 한 부분은 황 교수팀의 1번 줄기세포(NT-1)가 처녀생식 줄기세포인지 여부 등 과학적으로 논란의 소지가 있는 사항들이다. 서울대 조사위원회는 1번 줄기세포가 처녀생식 줄기세포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결론냈으나 일부 전문가들은 그런 결론에 동의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번 수사를 차질 없이 진행하기 위해 팀장인 홍만표 특수3부장을 포함, 특별수사팀 소속 검사 전원을 이날 단행된 정기인사에서 유임시켰다. 수사팀은 이날 감사원 감사 결과 드러난 연구비 부정 사용 의혹과 관련, 법원에서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받아 황 교수팀의 계좌 추적에 나섰다. 검찰이 추적에 나선 계좌는 정부지원금이 입금된 황 교수 명의 계좌를 포함, 모두 17개 계좌이다. 검찰은 계좌추적을 통해 황 교수가 개인적으로 사용한 정부지원금의 규모 등을 규명, 횡령 혐의 적용 여부를 따질 계획이다. 검찰 관계자는 "우선 정부 지원 연구비에 대해 수사하고, 논문 조작과 관련된 사실 관계가 어느 정도 정리되면 민간 후원금 부분도 조사할 것이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고웅석 기자 freem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