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문화적 쿠데타 행위다." 정부의 스크린쿼터 축소방침이 알려지면서 영화계가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한덕수 부총리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26일 오전 정례브리핑을 통해 ""오는 7월1일부터 스크린쿼터 일수를 73일로 축소하는 것을 목표로 필요한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정부가 밝힌 73일은 현행 스크린쿼터 비율인 146일(1년의 40%)의 절반 수준. 이 같은 소식이 알려지자 스크린쿼터를 사수하기 위한 영화인들의 모임인 '한미투자협정 저지와 스크린쿼터 지키기 영화인 대책위원회'(공동위원장 정지영 안성기)는 "끝까지 투쟁하겠다"는 입장이다. 영화인대책위는 25일 오후 문화부로부터 정부의 스크린쿼터 축소 방침을 전해듣고 긴급회의를 소집했으며 26일 오후 1시 다시 회의를 연 뒤 2시로 예정된 기자회견을 통해 영화계의 입장과 추후 투쟁방향 등에 대해 밝힐 예정이다. 정지영 위원장은 26일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이번 조치에 대해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일축했다. 그는 "스크린쿼터 축소 철회를 쟁취할 때까지 투쟁을 계속할 것"이라면서 "미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이 진행되는 단계별로 투쟁방침을 세분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 위원장은 "미국은 다른 나라와 FTA 협정을 체결할 때 대부분 문화 분야를 예외규정으로 하는 것을 알고 있는데 우리 나라만 유독 그렇지 못하다"면서 "정부는 국민과 영화인들에게 납득할 만한 이유를 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투쟁 과정에서 스크린쿼터 축소 방침에 대해 유관기관인 재경부, 문화부, 외교부 등과의 TV 공개토론회를 통해 스크린쿼터 축소방침에 대한 시시비비를 가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영화인 대책위 공동위원장인 영화배우 안성기 씨는 "정부가 미국과의 FTA를 앞두고 선결조건으로 스크린쿼터 축소를 약속했다는 것이 미국과의 힘의 논리에서 밀렸다는 사실을 말해주는 것 같아 마음 아프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추세가 각국의 문화다양성을 인정하는 쪽으로 진행되는데 이번 사태는 형평성에 어긋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영화인 대책위 양기환 사무처장은 이번 사태를 "반문화적 쿠테타"로 규정했다. 그는 "영화인들의 힘을 총동원해 정부 방침에 대응할 것"이라면서 "자세한 사항은 기자회견을 통해 밝히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27일 영화계의 반발을 최소화하기 위한 영화계 지원사업 계획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연합뉴스) 홍성록 기자 sunglo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