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의 대출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반면 수신은 정체됐습니다. 경쟁적으로 특판 상품을 내놓으며 예금 유치에 나섰던 것과는 대조적인 결과입니다. 김호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매달 2,000억원 안팎으로 늘어났던 저축은행 총 수신이 갑자기 멈췄습니다. 지난 11월 저축은행 총 수신 금액은 35조9,981억원으로 지난 10월에 비해 557억원 증가하는데 그쳤습니다. 이 수치는 영업정지중인 플러스상호저축은행과 인베스트상호저축은행을 제외한 109개 저축은행의 수신을 집계한 것입니다. 10월 콜금리 인상 이후 특판 예금에 경쟁을 하며 일부 저축은행은 6%대의 고금리 예금까지 내놓기도 했습니다. 예금 예치를 위한 치열한 경쟁을 펼쳤음에도 불구하고 저축은행의 총 수신이 줄어든 이유는 일부 대형 저축은행을 제외한 대다수 중소형 저축은행의 수신이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실제로 저축은행 총 수신 금액이 줄어든 것과 달리 대형 저축은행의 수신은 급격히 늘어나고 있습니다. 지난 10월에 비해 11월 솔로몬상호저축은행은 1,000억원, 한국상호저축은행과 푸른1저축은행도 각각 500여억원씩 수신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적어도 자금예치에 있어서는 대형 저축은행과 중소형 저축은행의 양극화가 진행되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습니다. 한편 저축은행 총 여신은 9월 이후 상당히 늘어나고 있는 추셉니다. 역시 109개 저축은행(플러스, 인베스트 제외)한 저축은행 여신은 10월 32조 6,421억원, 11월 33조 5045억원을 기록하며 전달 보다 각각 9,000여억원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금융감독원은 저축은행의 프로젝트파이낸싱이 최근 매달 3000억원씩 늘어나고 있다고 전하며 부동산 관련 자금수요가 저축은행으로 몰리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와우티비뉴스 김호성입니다. 김호성기자 hskim@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