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0년 서로 다른 3개의 기관이 통합된 농업기반공사가 '한지붕 세가족'으로 남지 않고 통합 5년 만에 진정한 한가족으로 거듭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노사화합이 자리잡고 있다. 특히 통합의 세 주체 중 하나인 농지개량조합연합회가 104개의 단위조합으로 구성됐던 점을 감안하면 106개의 다른 조직이 수년 만에 완전한 한 가족이 된 셈이다. 물론 통합 초기에는 갈등과 반목이 거듭됐다. 조직문화와 인적 구성이 판이하게 달라 통합 이듬해인 2001년에 노조가 총파업을 강행하는가 하면 농업기반공사로 통합한 것은 위헌이라는 헌법소원이 청구되기에 이르렀다. 무엇보다 출신별로 인사와 호봉 책정에 공정성을 기하지 못한 것이 노조의 가장 큰 불만이었다. 회사측은 이 점을 간파했다. 2001년 노사로 구성된 제도개선협의회에서 조직 내 최대 갈등 요인이었던 직급과 호봉을 조정하기 시작했다. 끊임없는 토론 끝에 바로 그해 통합 후 처음으로 노사 간 실질적인 합의를 도출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노사는 지난해 6월 '공사발전을 위한 노·사 공동선언'을 채택했다. 이 같은 신뢰는 올해 무교섭 임금동결에 노사가 합의하는 초석이 됐다. 농업기반공사가 단 기간 내 통합작업을 원만하게 수행할 수 있었던 이유는 교육의 힘 때문이다. 회사는 2003년 사원 1인당 평균 1.6회이던 교육 횟수를 2004년 2.7회로 늘리며 교육 기회를 대폭 확대했다. 또 대학과 연계한 산학 연구과정을 신설해 연간 100여명이 외부 전문기관에 위탁교육을 받게 했다. 이로 인해 농업기반공사는 지난해 노동부 선정 최고 등급인 A등급의 원격훈련기관으로 평가받았고 한국능률협회 선정 인재경영 대상을 수상하기에 이르렀다. 안종운 농업기반공사 사장은 "주요 사안에 대해서는 노사가 함께 참여하는 제도개선위원회를 통해 결정해 노사가 모두 공감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인설 기자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