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시아 7개국 정상들이 참가한 제13차 남아시아 지역협력연합(SAARC) 정상회의가 13일 자유무역과 재난관리, 반(反)테러리즘 등에 관한 합의서 채택을 끝으로 폐막한다. 방글라데시, 부탄, 인도, 몰디브, 네팔, 파키스탄, 스리랑카 등 회원국 정상들은 창설 20주년을 기념해 방글라데시 수도 다카에서 열린 회의에 앞서 극빈층이 대다수인 14억명의 이 지역 인구의 실질적인 생활수준 향상을 다짐한 바 있다. 그러나 SAARC는 빈곤의 심화와 20여년 이상 끌어온 불신과 지역분쟁으로 경제협력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실패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칼레다 지아 방글라데시 총리는 12일 정상 환영 연회에서 "남아시아 경제가 정치의 인질이 돼서는 안된다"면서 "우리는 경제.무역 현안과 정치를 연계시키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고 관영 BSS통신이 보도했다. 이번 정상회의는 또 내년 1월이 이행시한인 남아시아자유무역협정(SAFTA)의 이행을 보증하는 합의서를 채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쇼카트 아지즈 파키스탄 총리는 "시간이 좀더 걸릴 수 있다"고 말했다고 이 통신은 전했다. 아지즈 총리는 "지난 20년간 남아시아 국가들이 다른 아시아 강국에 비해 경제.사회의 발전에서 뒤졌다는 점이 명확하다"며 "남아시아의 분쟁이 지역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제 인식할 때가 됐다"고 말했다. 앞서 7개국 정상들은 회의 첫날 "SAARC의 이상을 현실화하기 위해" 더 많은 실질적인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했었다. 만모한 싱 인도 총리도 "상호 도움이 되는 경제협력 구조를 만들어내려면 분리의 역사와 정치를 극복하고 치유해야 할 긴급한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쓰나미 등으로 인해 두차례 연기된 끝에 열린 이번 정상회의에서는 자유무역과 테러리즘 대처, 재해관리, 아프가니스탄 가입 문제 등을 주요 의제로 다룬 것으로 전해졌다. (다카 AFP=연합뉴스) mingjo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