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별과 소외에 대한 분노로 지난달 27일 촉발 된 파리 교외 아프리카계 빈민들의 소요 사태가 지속되는 가운데 3일 밤새 파리 시내와 일부 지방 도시들에서도 차량 방화가 잇따랐다. 4일 경찰에 따르면 밤새 동부도시 디종에서 수대의 승용차가 불에 탔고 유사 공격 행위가 서부의 노르망디 지방, 남부 부슈-뒤-론의 마르세유에서도 발생했다. 파리 시내 북부와 동부의 빈민 거주지에서도 승용차 7대가 불탔다. AFP 통신은 소요 발발 이래 파리 교외 이외의 지역에서 유사 사건이 발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이는 모방 행위의 전국적인 확산 조짐이라고 보도했다. 이번 사태의 중심에는 아프리카계 빈민 청년들이 있고 이들중 다수는 북아프리 계 무슬림들인데 현재 프랑스 전국에는 전인구의 10%에 가까운 500만명의 무슬림이 살고 있다. 사태의 진원지인 파리 교외 지역의 소요 사태도 지속됐다. 정부의 강경 대처 방 침에도 불구하고 3일과 4일 사이 야간에 북동쪽 센-생-드니 도(道)를 중심으로 경찰 과 시위대 사이의 충돌과 방화가 잇따랐다. 경찰에 따르면 파리 서쪽 트라프의 한 버스 차고에 있던 버스 27대가 불탔다. 경찰 1천300명이 배치되는 등 상황이 가장 심각했던 북동쪽의 뇌이-쉬르-마른에서는 경찰 밴 차량이 공기총 공격을 받은 뒤 화염에 휩싸였다. 스탱에서는 초등학교에서 불이 났고 인근의 유대교 회당 부근에서는 경찰이 30~ 40명의 군중으로부터 위협을 당했다. 경찰에 따르면 밤새 500대 이상의 승용차가 방화로 불탔고 78명이 검거됐다. 정부의 대처가 한계를 드러내자 극우정당 국민전선 장-마리 르펜 당수의 딸인 마린은 상황이 심각한 지역에 비상사태를 선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3일 밤에는 경찰과 성난 청년들의 직접적인 충돌이 이전보다 줄어드는 등 상대적으로 진정되는 분위기를 보인 것으로 보도됐다. 이와관련해 대도시 주변 빈민가에서 범죄가 일상적으로 발생해 온 사실을 감안하면서 이번 사태를 봐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통계에 따르면 올해들어 전국적으로 2만8천대의 차량이 방화로 불탔다. 이번 소요 사태에서 정부에겐 불행중 다행으로 사망자는 나오지 않았다. 다만 지난 2일 파리 북쪽 교외 세브랑에서 청년들이 화염병으로 버스에 불을 지르는 과정에서 미처 대피하지 못한 56세 장애 여성이 중화상을 입었다. 한편 경찰 검색을 피해 달아나다 감전사하면서 이번 사태를 촉발시킨 10대 소년 2명의 유가족이 치안 당국의 과잉 행동에 책임을 묻는 소송을 제기했다. 유가족은 경찰의 과잉 범죄단속의 여파로 자식들이 희생됐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경찰은 이들 소년을 직접 겨냥해 추격하지는 않았는데 지레 겁을 먹고 도주했다고 해명하고 있다. (파리=연합뉴스) 이성섭 특파원 lees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