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살아가는 주거공간에 에어컨이 없다면 푹푹 찌는 더위에 불쾌감과 짜증으로 인하여 견디기 힘들 것이다. 여기에 도시특유의 시커먼 매연, 탁한 공기 등으로 심하게는 호흡이 곤란해지고 반갑지 않은 호흡기 질환이 찾아올 수도 있다. 그래서 집집마다, 사무실마다 에어컨이나 공기청정설비는 거의 필수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매년 주거공간에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거나 다양한 산업에 필요한 환경을 조성해 주기 위한 에어컨 등 냉동기 및 공조설비를 다루는 공조냉동기술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여기서 공조란 공기조화(Air conditioning)의 준말로서 온도, 습도 및 기류, 박테리아, 먼지, 유해 가스 등의 조건을 실내에 있는 사람이나 물품에 대하여 가장 좋은 조건으로 유지 및 조절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공조냉동기술은 산업분야에 따라 활용범위가 매우 다양할 뿐만 아니라, 사용하는 공조냉동기계의 종류, 규모 및 피냉각물의 종류도 다양하기에 전문적인 기술인력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전문기술을 가진 사람이 공조냉동기계기사인데 공조 및 냉동기계장치의 설계, 시공 및 감독의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공조냉동기계기사는 냉동 및 냉동기 제조시설의 안전관리책임자로 활동하게 되는데 이와 관련하여 소방관련, 가스안전관련, 빌딩자동제어 등에 관하여도 관심을 가지고 관련기술을 습득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공조냉동기계기사의 경우 주간근무를 하지만 상가건물 등에서 공조 및 냉동기계장치를 취급하는 공조냉동기계기사의 경우 교대제근무로 인하여 근무시간이 일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 향후 전망 공조냉동기술은 주로 활용되는 냉난방, 제빙, 식품저장 및 가공분야 외에 경공업, 중화학공업, 의료업, 축산업, 원자력공업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또한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냉난방 설비수요가 필수화되고 있어 공조냉동설비를 설계하거나 시공기술인력을 지도, 감독해야 할 기술인력의 수요가 증가할 전망이다. 참고로 냉동공조기기의 생산, 출하 및 수출실적은 한국냉동공조협회 자료에 의하면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관련 산업의 성장을 반영하여 주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공조냉동관련 종사자에 대한 인력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고압가스안전관리법시행령」에 의하면 냉동제조시설에서 안전관리자 선임요건이 냉동능력 50톤 이상의 경우(프레온을 냉매로 사용하는 것은 냉동능력 100톤 이상) 공조냉동기계기능사 이상으로 되어 있어 자격보유자에 대한 인력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 등록을 위한 감리원자격 등 관련법령에 의해 자격취득자를 고용토록하고 있어 공조냉동기계기사에 대한 인력수요는 지속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공조냉동기계분야의 구인구직동향을 중앙고용정보원의 자료를 통해 보면 2004년 경우 구인자는 996명이나 구직자는 662명으로 취업경쟁률이 낮은 편이므로 공조냉동기계기사자격을 취득하고 관련분야 기술을 가지면 취업에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 진출분야 및 종사자 현황 공조냉동기계기사 자격증을 취득하면 주로 공조냉동설비관련 업체, 냉난방 및 냉동장치 제조업체, 냉동고압가스업체, 저온유통업체, 식품냉동업체 등으로 진출한다. 일부는 건설업체, 감리전문업체, 엔지니어링업체, 정밀기계제조업체, 제약회사, 검사기관, 정부기관 등으로 진출하고 있다. 이밖에 공조냉동기계기사 자격취득자는 공무원 채용 시에 가산점을 부여받아 공무원으로 진출 할 수 있다. 공조냉동분야 종사자수는 통계청의 「사업체기초통계조사」에 의하면 53,377명으로 집계되고 있으며 종사자의 대부분이 남성이다. ⊙ 자격증 취득자 예상 연봉 공조냉동기계기사의 연봉은 근무처와 업무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략 중견기업 및 대기업의 초봉은 2,000∼2,800만원 정도이며 10년 이상 근무하여 전문성을 인정받으면 연봉 4,000∼6,000만원을 받게 된다. 기술직 공무원으로 입직하면 공무원 보수체계에 따라 연봉을 받게 된다. ⊙ 자격증 취득을 준비하려면...... ◆ 대학에서 공조냉동관련 학과(기계공학과, 건축설비공학과, 건축설비학과, 냉동공조과, 산업설비과, 산업설비자동화과)를 전공한 경우 해당 분야의 기초 지식이 풍부하기 때문에 자격증 취득에 유리하며 이외에도 기술계학원 등에서 자격시험을 준비할 수 있다. ◆ 기타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의 등급별 응시자격에 관한 기준과 자격시험 일정은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운영하는 자격검정정보망(http://www.q-net.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글=이 만기 중앙고용정보원 직업연구팀 연구원 lee0345@work.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