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독감 확산에 대한 공포가 전세계로 급속히 번지고 있는 가운데 농림부가 조류독감 발생 예보를 발령했다. 조류독감이 발생한 러시아 몽골 등의 겨울철새가 이달 말부터 한반도로 건너오기 시작하면 조류독감이 국내로 유입될 수 있다는 우려(憂慮) 때문이다. 이번 조류독감의 심각성은 이종욱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의 경고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여러 정황을 봤을 때 조류독감의 사람간 전파가 올 것이고 그럴 경우 사스(SARS)를 훨씬 능가하는 막대한 피해가 초래될 수 있다며 이에 철저히 대비해 줄 것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조류독감은 단순한 보건.의료 차원의 문제가 아니다. 우리는 테러나 허리케인,그리고 지진사태 등이 엄청난 파장을 몰고 올 수 있다는 것을 이미 목격한 바 있다. 조류독감 역시 경제.사회 전반에 걸쳐 심각한 타격을 미칠 수 있는 중대한 문제로 인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선진국들이 앞다퉈 치료약 확보에 나서는 등 비상이 걸린 이유도 여기에 있다. 지금 WHO는 국제적 공조체제 구축이 시급하다고 말하고 있다. 조류독감의 전파 가능성을 생각할 때 그 어느 나라도 안심할 수 없는 일이고 보면 각국이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등 전세계적 방역망 확충이 긴요하다는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그런 점에서 우리 정부가 다음달 부산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담에서 이 문제를 심도있게 논의키로 한 것은 적절한 조치다. 그러나 보다 시급한 일은 우리 스스로 만반의 대비책을 세우는 것이다. 우선은 예방이 중요하다. 정부는 조류독감 발생예보를 발령했지만 예방책의 홍보를 더욱 철저히 할 필요가 있고, 축산단체나 농가, 그리고 일반 국민들은 적극적인 협조를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문제 발생시 즉각적인 대응책이라든지 관련 부처들의 긴밀(緊密)한 협력체제도 이 시점에서 다시 한번 점검해 볼 일이다. 조류독감의 유일한 치료제로 알려진 타미플루의 충분한 확보도 중요한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만일의 경우에 대비해 정부가 타미플루 비축량을 더 늘리기로 한 것은 잘한 일이지만 지식재산권을 소유한 스위스 제약회사의 독점 생산과 각국의 확보 경쟁으로 인해 수급이 원활치 못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서도 면밀(綿密)한 대응이 요구된다. 거듭 강조하지만 철저한 대비만이 피해를 줄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