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득을 올리며 평준화를 반대하는 부모 계층이 교육적인 이유로 거주지를 이동할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런 연구결과는 고려대 김경근(교육학과) 교수가 지난해를 기준으로 중학교 3학년 재학생 1천477명과 일반계 고교 3학년 재학생 1천211명의 부모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통계학적인 방법으로 분석, 7일 발표한 논문에서 밝혀졌다. 김 교수는 자녀의 교육을 위해 좋은 학교나 학군, 대도시로 이사한 적이 있는 지를 묻고 자녀수, 성별, 학업성취도, 징계경험, 어머니의 학력, 월평균 가계소득, 가구주의 직업, 평준화 찬반여부 등 15개 독립변수를 꼽아 설문조사한 뒤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결과를 냈다. 교육적 목적으로 이사를 할 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이들 독립변수 15개를 모두 포함한 모형을 추정한 결과 고소득ㆍ고학력에 속한다고 볼 수 있는 상위정신노동직(고위임원, 전문직 등)과 하위정신노동직(정보기술(IT)종사자, 준전문직 등)의 부모가 `맹모삼천지교'의 가능성이 높았다. 또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좋은 학교ㆍ학군으로 이사할 개연성이 높다는 결과가 나왔고 평준화에 반대하는 부모가 그렇지 않은 부모보다 이사할 가능성이 1.374배 높았다. 자녀에 기대하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거주지를 이동할 가능성이 높았는데 자녀가 대학원 이상의 학력을 얻기를 원하는 부모가 대학까지만 수학하기를 원하는 부모보다 1.392배 `맹모'의 가능성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에서 실제로 중학생의 8.6%, 고교생의 11.0%가 교육적 동기로 거주지를 옮긴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교수는 "IMF(국제통화기금) 사태 이후 계층 양극화가 심화한 것과 궤를 같이하며 교육적 동기에 의한 거주지 이동은 일부 계층의 특권이 될 개연성을 강력히 시사하는 연구결과"라며 "이는 상대적으로 교육환경이 열악한 지역에 사는 사람들의 박탈감과 피해의식을 키워 계층 간 갈등을 더 깊게할 소지가 크다"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강훈상 기자 hska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