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 8일 통일.외교.안보분야 대정부질문에서는 국가안전보장회의(NSC)와 외교안보라인의 쇄신론이 최대 화두로 떠올랐다. 한나라당은 물론 열린우리당 의원까지 가세, 정보와 권한이 집중된 NSC 조직과 기능에 과감히 `메스'를 들이대고 전면적 인적쇄신을 단행해야 한다는 주장이 꼬리를 물었다. 먼저 한나라당 황진하(黃震夏) 의원이 "대통령 자문기구에 불과한 NSC가 실제로 통일.외교.국방의 주요 업무를 모두 주무르고 있다"고 포문을 열었다. 황 의원은 "코드인치(人治)와 아마추어들에 의한 국정난맥"이라며 "우리 외교안보가 중심을 잡으려면 무소불위의 NSC 책임자를 교체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같은 당 박 진(朴 振) 의원은 "지금의 NSC는 정부기관 위에 군림하면서 무소불위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있다"며 "외교안보팀의 전략부재와 무능, NSC의 월권과 독선이 외교안보를 위기상황으로 몰고가고 있다"고 질타했다. 박 의원은 "국정시스템을 정상화하려면 NSC에 대한 대대적인 수술과 전면적인 인적쇄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열린우리당 최 성(崔 星) 의원도 외교안보팀의 인적쇄신론에 가세하고 나섰다. 최 의원은 "이종석(李鍾奭) NSC 사무차장에 대한 조사설은 사실여부와 상관없이 외교안보팀의 역량과 효율적인 운영에 대해 논란을 제기하는 계기가 됐다"며 "NSC 등 외교안보팀의 교체문제도 시스템적 국정운영과 전문성, 경륜을 겸비한 능력있는 인사를 통해 NSC의 역량이 더욱 강화되는 방향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최 의원은 특히 국가정보원장 인선과 관련, "현재 언론에 비중있게 거명되는 국정원장의 후보군과 NSC의 핵심인사에 대한 후속인선이 일부의 우려처럼 특정학교, 특정인사와의 친소관계에 따라 좌우되면 안된다"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노효동기자 rhd@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