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오는 11일 새벽(한국시간)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정상회담 준비에 몰두하고 있다. 노 대통령은 출국을 이틀 앞둔 7일 아무런 공식 일정을 잡지 않은 채 청와대에서 외교.안보라인으로부터 현안 관련 보고를 받는 등 한미정상회담 대비에 진력하는 모습이었다. 또한 청와대 내부 비공식 회의에선 한미정상간 대화 테이블에 올려질 북핵문제와 한미동맹 등 핵심 의제에 대한 집중적인 점검 작업이 진행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지난 4일 오후에는 워싱턴에서 정상회담 의제를 조율하고 귀국한 권진호(權鎭鎬) 국가안보보좌관이 노 대통령에게 방미결과를 보고했다고 청와대 핵심관계자가 전했다. 8일 노 대통령의 방미전 유일한 공식일정으로 잡힌 '주한미군 초청 오찬'도 회담 준비와 무관치 않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청와대에서 열리는 이날 행사에는 리언 라포트 한미연합사령관을 비롯, 개리 트렉슬러 미7공군사령관과 찰스 캠벨 미8군사령관 등 소장급 이상 주한미군 수뇌부가 초청됐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기왕이면 정상회담 전에 주한미군 장성들을 불러 격려하자는 의견이 많았다"고 전해 이번 행사가 한미 우호 분위기 고조 등 회담에 대비하는 차원임을 강력히 시사했다. 이런 정황 등에 미뤄 이번 정상회담은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전제로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한미관계를 한 단계 더 성숙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달 13일 뉴욕 북미접촉에 이어 북한측의 요청에 따라 6일 뉴욕 유엔 주재 북한대표부에서의 북.미 접촉이 다시 열리는 등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북측으로부터 긍정적 신호가 잇따르는 것도 6자회담 재개 전망에 무게를 더하고 있다. 특히 청와대는 북미접촉 사실을 미국측으로부터 사전 통보받았으며, 현재 당국에선 접촉결과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정부 고위 당국자는 "북미간 감정대립이 격화돼온 상황에 진전이 이뤄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아직 예단하기 어렵지만 국면이 좋아지고 있다는 관측은 맞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한미동맹과 관련, "이 문제에 대해 한미간에 아무런 이견이 없다는 점을 과시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해 사전 의견조율이 마무리됐음을 시사했다. 이에 따라 미국 방문을 앞둔 노 대통령의 '장고(長考)'는 북핵문제 해결의 획기적 전기가 될 수 있는 '중요한 대북 제안'을 더욱 가다듬는 데 초점이 맞춰진 게 아니냐는 추론이 가능해 보인다. 마침 뉴욕타임스도 6일 "노 대통령이 정상회담에서 새로운 대북 유인책을 제시하고 조지 부시 대통령의 동의를 구할 가능성이 있다"는 미 정부 관계자들의 언급을 보도해 이를 뒷받침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재현기자 jah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