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대 혁신중기 뽑아 산학협력 모델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손을 잡고 전국의 중소기업 1백곳을 뽑아 대학과의 산학협력을 집중적으로 지원한다.이들 기업은 정부와 지자체, 대학과 함께 산학협력 네트워크에 참여해 폭 넓은 산학협력 기회를 갖게 된다.
산학협력 과정에서 각종 애로사항이 발견되는대로 정부와 지자체가 우선적으로 해결방안을 찾아줄 방침이다.
교육인적자원부와 산업자원부는 이 같은 내용의 '100개 기업 산학 네트워크 혁신 프로젝트'를 8일부터 시작한다고 6일 밝혔다.
교육부와 산자부, 광역 지자체, 지역 대학과 중소기업이 참여해 각 광역자치단체별로 구성되는 산학 네트워크는 산학협력의 현황과 문제점, 개선방안을 모색하게 된다.
산학 네트워크는 각 지역별로 10∼20개씩 100개 시범 중소기업을 뽑아 산학협력 모범사례로 육성하는 임무를 맡게 된다.
8일 대구.경북 지역에서 산학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제 1회 산학협력 파트너십 포럼이 대구전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다.
한국경제신문이 후원하는 이번 포럼에는 강병규 대구광역시 행정부시장과 김용대 경상북도 행정부지사, 김광조 교육인적자원부 총괄국장, 임문혁 계명대 산학협력단장, 정훈 대경대 산학협력단장, 오병희 삼성전자 직업능력개발원장, 김동관 케이이엔지 대표이사 등이 토론자 등으로 참가한다.
정부와 지자체는 대구.경북에 이어 경기(6월 말) 부산 울산 등 5∼6개 지역에서 포럼을 열고 각각 20개씩 모두 100개 시범기업을 선정할 계획이다. 시범기업들을 상대로 인력 수급 및 활용 현황 등을 조사한 뒤 맞춤형 교육훈련을 지원할 방침이다.
상품 및 기술 개발을 돕기 위해 지역내 대학과 연구소의 연구 및 인력 정보 등도 제공하며 대학 연구인력을 활용한 법률.경영에 대한 컨설팅도 펼친다.
시범기업의 애로사항 중 지역에서 풀 수 있는 문제는 광역지자체가 맡도록 하며 국가 차원의 중요한 사항은 국가인적자원개발회의의 의제로 다뤄 제도를 개선할 방침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제까지의 산학협력은 교육부는 교육부대로, 산자부는 산자부대로 대학이나 기업에 산학협력 자금을 주는 종적인 방식으로 이뤄져 산학협력이 잘 이뤄지지 않거나 단발성으로 끝났다"며 "경제단체와 지자체, 지역 기업과 대학이 횡적인 네트워크를 만든다면 지속적인 협력을 이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그동안 지역의 중심인 지자체들이 산학협력에서 소외돼 있었는데 이제 풍부한 인적.물적 자원을 이용해 대학과 기업을 이어준다면 산학협력이 크게 활성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