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11일(한국시간) 새벽에 열리는 노무현 대통령과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워싱턴 정상회담에선 북한핵 해법에 대한 구체적 대응방안이 가시화될 전망이다. 이번 회담의 최대 의제는 북핵 문제와 한·미동맹의 발전방안이지만 최근 한반도 주변정세와 남북관계,북·미 간 동향 등을 감안할 때 북핵 문제가 회담의 초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사안의 긴박성을 감안,노 대통령은 부시 대통령과의 회담 외에 다른 일정은 거의 생각하지 않고 있다. 두 정상 간 오찬과 그 전후의 회담만으로 방문의 목적을 명확히 하고 회담의 집중도를 높인다는 전략을 세워놓고 있다. 북핵 문제를 놓고 평화적·외교적으로 조기에 풀어나가야 한다는 점에서는 지금까지 한·미 양국은 기본 인식을 공유해왔다. 그러나 6자 회담에 북한이 소극적으로 나오면서 시간만 흘렀고 그러는 사이에 미국 내 보수강경파들의 목소리도 부쩍 커졌다. 부시 대통령이 이런 여론을 어떤 식으로 수용해 나가고,이에 대응해 노 대통령은 어떤 방안을 제시하면서 미국을 설득할지가 관건이다. 정상회담의 주요 의제를 전한 외교소식통도 "정상 간 대화는 어떻게 진행될지 미리 말하기 매우 어렵다"며 성급한 예측에 쐐기를 박았다. 다만 노 대통령이 이달 들어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 및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연쇄 만남에서 '평화적 외교적 해법'을 강조해온 점을 지적하면서 이 같은 한국의 입장을 설득할 것임을 강력히 시사했다. 결국 6자회담 틀 내에서 대화로 북핵 문제를 풀도록 마지막까지 외교적 노력을 다하되 이를 위해 필요하다면 6자 회담의 큰 테두리 내의 북·미 간 직접대화도 용인할 것으로 예상된다. 부시 대통령은 북한에 대해 '주권과 체제 인정'을 밝히며 평화적 해법의 '무대'인 6자 회담장으로 복귀를 최후통첩성으로 제시할 가능성이 있다. 다만 회담 내용과 방향을 결정할 최대 변수는 지금부터 향후 보름간 북한의 태도다. 북한의 입장에 따라 워싱턴 회담의 협의내용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한·미동맹 문제는 노 대통령의 '동북아 균형자론' 등 다소 민감한 사안임에도 불구하고 동맹관계를 계속 심화 발전시켜 나간다는 원칙을 재확인하는 수준이 될 전망이다. 그럼으로써 국내 보수층에 대한 안보 불안감을 털어주고 대외적으로도 안정된 국가 이미지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게 청와대의 시각이다. 한편 하룻밤만 자고 돌아오는 이번 회담의 형식에 대해 청와대측은 "실무 정상외교의 새로운 패턴을 만드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1박2일의)한·일 셔틀외교만 해도 길다는 느낌이 있었다"고 밝혔다. 허원순 기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