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연말의 지진ㆍ해일(쓰나미) 참사로 모든 것을 한꺼번에 잃어버렸던 인도의 피해자들이 정부의 말도 안되는 관료주의 때문에 두번씩 눈물을 흘리고 있다. 특히 인도에서 가장 심한 피해를 입었던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에서는 고작 2루피(46원)의 보상금을 수령한 사람까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니코바르 제도의 난카우리 마을에 사는 채리티 챔피언이란 여성은 28일 주정부에서 받은 보상금이라며 2루피짜리 수표 원본을 BBC에 공개했다. 그녀는 "나는 쓰나미 참사로 300그루의 캐슈나무와 빈랑나무를 잃었고 피해액은 2만루피에 이른다"면서 "정부의 피해 평가로 판단하더라도 최소한 5천∼6천루피는 받아야 한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그녀는 "나뭇가지 하나가 부러졌다 해도 2루피를 지급할 수는 없다"면서 "집 근처에 있는 은행에 계좌를 개설하려면 500루피가 있어야 하는데 2루피를 찾으려고 계좌를 열고 싶지는 않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안다만 주정부 관계자는 익명을 전제로 "이 보상금은 `객관적인 실재'에 따라 지급된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다른 관계자는 "피해자들이 요구하는 액수보다 적게 지급하라는 권고는 했지만 2루피를 지급하도록 조치하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이는 아마도 보상금 집행 부서의 실수인 것 같다"고 인정했다. 그러나 BBC는 이 지역에서 2루피를 받은 것으로 확인된 피해자는 이 여성밖에 없었지만 다른 사람들도 터무니없이 적은 보상금을 강도높게 성토하고 있다면서 카 니코바르 주민의 사연도 소개했다. 이 섬의 말라카 마을에 사는 대니얼 유누스는 빈랑나무 200그루와 바나나 나무 300그루를 잃고서도 겨우 41루피(923원)의 보상금을 받았다는 것. 그는 "주정부의 농업부서 직원들은 다 자란 과실수가 얼마의 가치가 있는지 아무 개념이 없는 것 같다"면서 "그렇지 않고서야 이렇게 말도 안되는 보상금을 내놓을 수가 있느냐"고 흥분했다. 니코바르 부족청년협회의 라쉬드 유수프 회장도 "이는 정부가 피해자들을 조롱하는 것 밖에 안된다"면서 "그들은 모든 것을 잃고 보상금을 타기 위해 지금까지 3개월을 기다렸다"고 비판했다. 일부 부족민들의 보상금 수령을 아예 거부하고 있다는 것이 그의 귀띔이다. 안다만의 환경운동가인 사미르 아차르야는 "정부의 피해 평가가 정확하지 않다"면서 "가장 심하게 타격을 입었던 니코바르 주민들이 이제 무사안일한 관료주의의 최대 희생자가 되고 있다"고 개탄했다. 인도 중앙정부는 쓰나미로 3천여명이 사망하고 5천여명이 실종됐으며 생존자들도 대부분 집과 생활터전을 잃어 버린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에 수백만달러 규모의 구호기금을 약속한 바 있다. (뉴델리=연합뉴스) 정규득 특파원 wolf85@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