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양국이 정상회담을 오는 6월께 개최키로 가닥을 잡은 것은 북핵 문제 해결을 더 이상 늦출 수 없다는 현실적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당초 두 정상간 회담은 오는 9월 예정된 유엔 총회에서 양자회담을 갖는 방안이 유력했다. 그러나 최근 북한의 핵실험 가능성까지 흘러나오는 등 급박해진 북핵문제를 조기에 매듭짓기 위한 정상간 의견조율이 무엇보다 절실해졌다. 미국 내에서도 북핵 파국의 상당부분 책임이 미국 내 강경일변도 외교정책에 있다는 책임론까지 비등,미국에 부담이 돼온 것도 사실이다. 정부의 고위관계자는 "갈림길에 선 북핵문제 해결의 가닥을 잡기 위해 양국 정상간 직접 협의가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북핵 해결의 '데드라인'도 자연스럽게 정상회담 이후로 미뤄지며 외교적 해결을 위한 시간도 벌게 됐다. 그만큼 북한의 태도변화를 유도하며 강공 혹은 유연한 접근법이 논의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이번 회담의 또 다른 목적은 최근 불거지고 있는 한·미동맹간 이상기류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도 보인다. 주한 미군의 동북아 역내 분쟁 개입 반대, 북한 내 급변사태 발생시 군사적 대처방안 논란 등 최근 양국간 이견이 표출되면서 한·미동맹에 대한 우려섞인 시각이 제기돼왔다. 정상회담 의제와 관련,외교부 당국자가 "북핵 문제와 관련한 현안이 제일 크지만 동등한 비중으로 한·미동맹 강화 문제가 있다"고 밝힌 것도 같은 맥락이다. 회담의 유력한 장소로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크로포드 목장'이 거론되고 있는 것도 그만큼 이 곳이 한·미동맹 전선에 이상이 없음을 상징적으로 알릴 수 있는 이상적인 장소라는 점 때문이다. 외교부 관계자는 "양 정상간에는 동맹으로서의 상호 필요성을 넘어 개인적인 우의와 신뢰가 형성돼 있다"며 "이번 회담은 양국간 공조를 재확인하는 자리로도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