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호선(千皓宣) 청와대 국정상황실이 지난달 31일, 철도청의 지난해 11월 유전개발 사업에 관한 정보를 접수해 사업타당성 문제를 조사했던 국정상황실 서모 행정관으로부터 관련 내용을 전달받고도 19일간 이를 상부에 보고하지 않은 것으로 24일 밝혀졌다. 또 감사원은 철도청 유전사업에 관한 감사에서 청와대 국정상황실의 조사 사실을 파악했으며, 검찰은 이를 토대로 서 행정관에 대해 사실관계 여부를 문의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김만수(金晩洙)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3월31일 청와대 현안점검회의후 서 행정관이 천 실장에게 `우리가 2004년 11월에 사실을 파악했던 적이 있다'고 보고했다"며 "그러나 이 사실이 4월18일까지 내부에 보고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서 행정관은 지난해 11월9일 당시 박남춘(朴南春) 국정상황실장으로부터 국정원이 통보한 관련 정보에 대한 사실관계 확인지시를 받고 철도청 왕영용 사업본부장에 대해 사업 타당성 조사를 벌인 인물이다. 김 대변인은 또 "4월19일 검찰에서 서 행정관에게 확인 전화를 걸어와 왕 본부장에 대한 문의 여부를 물었고, 서 행정관은 이런 사실을 천 실장에게 보고했다"며 "천 실장은 `오해가 있을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민정수석실에도 통보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유전의혹 문제를 관리하고 있던 민정수석실이 지난 22일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에게 당시까지 취합된 내용을 보고했으며, 노 대통령은 "즉시 공개하도록 할 것"이라는 방침을 정했다. 앞서 노 대통령은 유전의혹이 처음 보도된 다음날인 3월28일 김우식(金雨植) 비서실장을 통해 언론보도 내용과 함께 철도청이 유전사업에 참여하게 된 경위와 계약 파기 문제, 관계자들의 리베이트 수수 여부에 대해 감사원이 조사중이라는 사실을 보고받았다고 김 대변인이 전했다. 보고를 접한 노 대통령은 문재인(文在寅) 민정수석에게 "사안을 파악하라"고 지시했으며, 30일 이광재(李光宰) 열린우리당 의원의 개입 의혹이 언론을 통해 제기되자 문 수석으로부터 추가 상황 보고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변인은 특히 천 실장이 검찰조사 이전까지 보고사항을 누락시킨데 대해 "천 실장은 작년 11월 국정상황실에서 점검한데다 철도청의 자체 사업 포기로 종결처리된 사안이었기 때문에 정치권 개입이나 비리의혹 사건과 전혀 관계없는 것으로 판단했다"며 "또한 감사원 감사가 진행중이었고 민정수석실에서 상황을 관리하고 있었기 때문에 국정상황실이 별도로 조치를 취할 입장이 아니라고 판단했던 것"이라고 해명했다. 천 실장은 보고누락 논란과 관련, "내가 조사를 하지 않은 것이라서 명확히 몰랐고, (유전의혹과의) 연관성도 생각하지 않았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대변인은 "내부적으로 보고가 안된 부분은 있지만 `11월 상황'은 비리의혹과 관련이 없는 정책점검 과정이었다"며 "청와대에서 의혹을 은폐하거나 그 사안에 대해 개입할려는 시도는 일체 없었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특히 22일 오후 청와대가 국정상황실의 사전조사 사실을 시인한 것과 관련해 "청와대가 그날 바로 공개한 사실에 비쳐 노 대통령은 22일 오후 보고받은 것 같고, 한나라당 안택수 의원 주장과는 관련이 없다"며 "이 문제로 더이상 국정혼란이 있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철도청의 유전개발 문제를 처음 조사했던 박남춘 현 청와대 인사제도비서관은 기자간담회를 갖고 국정원에서 접수받은 철도청 관련 정보보고 원본을 회람시키며 청와대의 개입의혹을 일축했다. 박 비서관은 "왕 본부장에게 확인한 결과 `계약무효화를 검토하고 있다'는 답변을 듣고 회의 당일인 15일 오전 7시30분경 다시한번 서 행정관을 통해 왕씨에게 최종 확인한 결과 `금일 중에 해약한다'는 보고를 받고 회의 의제로 올리지 않았다"면서 "15일 오후 담당 행정관을 통해 건설교통 분야 담당인 산업정책비서관실 행정관에게 관련 자료를 e메일로 송부토록 지시했다"고 말했다. 박 비서관은 특히 "어제 (서 행정관에게서) 듣기로는 청와대 문서속성카드 체계가 아니라 개인 e메일로 전달했다고 보고받았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김재현기자 jah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