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말 워싱턴에서는 서방선진 7개국(G7) 재무회담을 비롯해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IMF) 춘계총회 등 세계경제의 풍향을 좌우할 중량급 경제 관계자 회동이 잇따라 열리게 된다. 세계경제를 주무르는 선진국 재무장관들과 중앙은행이 한자리에 모일 오는 15~16일 G7 재무회담 등에서는 작년부터 세계경제에 큰 주름살을 안겨주고 있는 유가대책을 비롯해 중국의 위안화 절상 문제, 빈곤국 부채 경감 방안 등이 주의제로 다뤄질 전망이다. ◇ 유가대책 = 고든 브라운 영국 재무장관 사회로 열리는 이번 G7 재무회담에서는 고유가의 장단기 영향 및 유가급등세 진정방안이 가장 화급한 현안으로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다니가키 사다카즈(谷垣禎一) 일본 재무상은 "이번 G7회담에서는 고유가가 세계경제에 미치는 파장이 다뤄질 것"이라면서 "취약지역이 고유가로 타격을 받아 세계경제에 손상을 주는 사태가 초래되어서는 안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미조구치 젬베이 전 일본 재무성 국제담당 재무관은 "유가 문제는 G7의 주요 관심사"라면서 "산유국과 시장을 향해 한목소리를 낼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위안화 대책 = 중국의 위안화 절상 문제도 회담 테이블에 오를 전망이다. 로브 니콜스 미 재무장관 대변인은 "중국이 달러 페그제를 폐지하고 유연한 환율체계로 전환하도록 하는 것은 미국 재무부의 우선과제"라고 말했다. 유럽연합(EU) 재무장관들도 11일 룩셈부르크에서 회담을 갖고 이번 G7 재무장관 회담에서 중국에 대해 위안화 절상을 재차 촉구하기로 했다고 장 클로드 융커 룩셈부르크 총리 겸 재무장관이 전했다. 융커 총리는 "갑작스런 외환 변동은 건전하지 못하다"면서 "유로화와 유로권만 환율조정의 부담을 질 수는 없기 때문에 많은 아시아 국가들이 상당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렇지만 중국이 이번 G7회담 불참을 천명하고, 세계은행 등의 춘계회의에도 대표단급을 낮춰 파견할 방침인 등 주변상황으로 볼 때 뾰족한 대책이 없다는 판단이어서 이 문제를 전면에 부각시키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다니가키 재무상도 "G7은 작년 2월 미 보카 레이튼에서 채택한 환율정책 기조를 그대로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 빈국 대책 = G7 재무장관들은 또 IMF와 세계은행 등이 갖고 있는 8천억달러(약 809조원) 규모의 빈곤국 부채 경감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를 재개할 예정이다. 앞서 브라운 장관과 EU 재무장관들은 빈곤국 대출금 중 사실상 상환불능에 빠진 악성채권 충당을 위해 IMF에 금 보유량 중 일부를 매각하는 방안을 제안한 바 있으나 현재 미국 의회와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은 이 제안을 반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밖에도 미국은 유럽과 일본에 대해 국제경제 부양을 위해 더욱 활발한 정책 활동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워싱턴ㆍ룩셈부르크 AFPㆍ교도=연합뉴스) zitron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