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프리카공화국이 1993년 폐기한 6발의 핵무기 외에도 수십발의 소형핵무기를 1980년대 개발, 보유했던 사실을 관련자들이 증언했다고 아사히(朝日)신문이 11일 보도했다. 남아공 국가정보기관 간부는 아사히신문의 취재에 "1980년대 보유했던 핵탄두는수십발이며 국영병기공사와 군의 일부에서만 관리됐다"며 "핵탄두 가운데는 순항미사일과 장거리포에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작은 것도 있다"고 말했다. 전 군간부도 "1993년 공표된 것과 별도로 축구공 정도 크기의 핵무기가 있었다"고 말했다. 원자력공사의 전 간부는 소형 핵무기 개발수준에 대해 "(남아공은) 1980년대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이었다"며 소형핵의 존재를 인정했다. 소형 핵무기의 행방에 대해 원자력공사 전 간부는 "해체됐다"면서도 "나는 은퇴했기 때문에 상세한 것은 모른다"고 말했다. 남아공은 1993년 3월 과거 핵개발 사실을 밝히면서 이미 완성된 핵무기 6발과제조중이던 1발을 폐기한다고 발표했었다. 소형 핵무기의 위력은 일본 히로시마에 투하된 원폭의 몇 분의 1 수준이며 실전에서 사용하기 알맞은 것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소형 핵무기는 '전술핵'으로 불리는데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등에 탑재되는 '전략핵'과는 구별된다. 최대 보유국은 미국과 옛 소련으로 냉전시대 두 나라가 2만발 이상을 보유했었다. 신문은 핵포기를 선언한 국가에서 포기한 것 외에 핵무기 보유사실이 드러남에따라 핵포기 공표와 검증방식 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도쿄=연합뉴스) 신지홍 특파원 shi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