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독도수호 및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 대책특별위원회'는 6일 김진표(金振杓) 교육부총리와 이태식(李泰植) 외교부차관 등을출석시킨 가운데 전체회의를 열고 일본 역사.공민교과서의 검정통과에 따른 정부의대책을 집중 추궁했다. 특히 야당의원들은 교과서 검정통과 과정에서 정부가 너무 안이하고 소극적으로대응했다고 질타하고 국제분쟁 가능성을 이유로 독도 유인도화를 고려하지 않는다는정책을 즉각 재검토하라고 촉구했다. 한나라당 송영선(宋永仙) 의원은 "2001년 역사교과서 파동 이후 지난 4년간 범정부대책기구가 도대체 무슨 노력을 했는지 모르겠다"며 "`조용한 외교'란 이름 하에 회색적이고 수동적인 태도를 보이는게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송 의원은 특히 "일본 학계와 시민단체에만 의존하는 방식으로 교과서 문제에관한 일본 정부의 결정을 바꾸겠다는 발상이 잘못됐다"고 꼬집었다. 같은 당 진수희(陳壽姬), 김석준(金錫俊) 의원은 "후소샤 역사교과서가 문제가됐던 작년 11월 당시 왜 공민교과서와 지리교과서를 미리 입수해 대처하지 못했냐"고 따졌다. 민주당 이낙연(李洛淵) 의원은 정부의 외교정책 기조와 관련, "정부가 국민대중으로부터의 감성적 지지와 외교적 성과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으려는 정책을 펴고있는 것 자체가 모순"이라고 지적했다. 열린우리당 이근식(李根植) 의원은 "정부는 독도문제와 교과서문제를 분리대응해 왜곡 교과서의 채택률을 낮추겠다고 주장하지만 과연 분리대응이 가능한 것이냐"고 의문을 제기했다. 한나라당 이병석(李秉錫), 정병국(鄭柄國) 의원은 독도 유인화 논란과 관련, "독도유인화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정부의 결정은 대일협상에서 입지를 좁히는 것은물론 주권을 포기하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정부측을 몰아세웠다. 우리당 이화영(李華泳) 의원은 일본교과서 문제를 논의할 국제 학술대회 또는국제회의 개최방안을 제의했고, 이근식 의원은 "일본 천황의 근원 등 일본의 자존심을 건드리는 소재를 발굴하고 일본 도쿄도지사의 `3류정치' 발언처럼 우리 정부의장관들도 강하게 나가야 한다"고 제안, 눈길을 끌었다. 이에 대해 이태식(李泰植) 외교부 차관은 독도 유인화와 관련, "무조건 반대한다는 것은 아니고 현재로서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라며 "중장기적으로 검토해야할 사안"이라고 답변했다. (서울=연합뉴스) 노효동기자 rhd@yonhap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