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스 캠벨 미8군 사령관겸 주한미군 참모장의 한국인 근로자 감원발언과 관련, 주한미군 외국기관노조가 전면파업까지 불사할 것이라고 밝히는 등 강력 반발하고 있다. 강인식 주한미군외기노조 위원장은 2일 연합뉴스와의 전화 인터뷰를 통해 "지난달 31일 주한미군측으로부터 방위비분담금 삭감 탓에 인력을 유지할 수 없다며 1천명 정도를 감원하겠다는 방침을 통보받았다"면서 "한명이 남을 때까지 사활을 걸고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 위원장은 특히 "외기노조가 소속된 한국노총과 연대해 최소한의 투쟁활동에 돌입하고 안될 경우, 전 조합원의 의견을 취합해 쟁의조정신청을 낼 방침"이라면서 "납득할만한 조치가 나오지 않으면 사활을 걸고 전면 파업에 돌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한미군 한국인 근로자들이 전쟁을 대비한 작전기지 구축과 전투태세 사전준비등 240종의 주한미군 업무를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전면 파업에 들어갈 경우, 주한미군의 기능이 전면 마비될 것이라고 강 위원장은 경고했다. 강 위원장은 이와 함께 이번 감원 방침이 한국 정부의 무원칙한 안보정책에서비롯된 부분도 있기 때문에 한국 정부를 상대로 한 투쟁도 병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방백서에 `근로자의 고용 안정을 위해' 방위비분담금을 지불하고 있다고 명시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정부가 무작정 분담금을 삭감하는 인기영합적 정책을 수행했다"면서 "이는 군 작전체계에 필요한 미군의 장비와 협력 등 안보적 측면을 완전 도외시한 결정"이라고 비난했다. 강 위원장은 이로 인해 앞으로 주한미군의 작전과 병력배치에 큰 어려움이 야기될 것이라고 경고하고 "한미간 절충을 통해 미국 국방예산을 증액하던지 아니면 삭감된 한국측 방위비분담금을 환원하는 방향으로 조정이 이뤄져야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외기노조는 최근 이 같은 내용 등을 담은 항의서한을 노동부에 발송한 데 이어2일 외교통상부와 국방부에도 같은 내용의 항의서한을 제출한다. 강 위원장은 특히 한미 주둔군지위협정(SOFA)에 한국인 근로자 고용계약과 관련된 부분은 없다는 지적에 대해 "업무가 존속되는한 무조건 감원은 있을 수 없다"고강조, 주한미군측의 감원 방침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주한미군을 위해 활동하고 있는 한국인 근로자는 모두 1만5천여명에 이르며 캠벨 사령관은 1일 이 가운데 1천명 정도를 감원하는 것은 물론 전시에 대비해 한반도에 사전배치된 장비와 물자 규모 및 구성을 조정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지일우 기자 ciw@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