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이 2기 국정과제 가운데 최우선으로 추진중인 사회 보장 개혁을 놓고 찬반론자들간의 논쟁이 본격화하고 있다. 6일 미국 언론들에 따르면 부시 대통령이 지난달 초에 이어 금주 사회보장 홍보를 위한 전국 순회 강연에 나설 예정인 가운데 백악관, 재무부가 발벗고 지원사격에나섰으며 민주당은 맞불 작전을 벌였다. 백악관의 댄 바틀렛 백악관 언론담당 고문은 이날 폭스 뉴스에 출연, "미국민들에게 사회보장 개혁의 당위성을 홍보하는 노력이 아직 초기 단계이지만, 곧 끝나게되면 의회가 무엇을 해야 한다는 압력을 느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부시 대통령은 지난달 초 8개주를 돌며 수십만명을 상대로 사회보장 개혁을 강조한데 이어 금주 집중적으로 순회 강연회를 가질 예정이다. 지난주 앨런 그린스펀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이 사회보장 개혁을 위한세제 개편 필요성 등을 제기하며 부시 대통령 지원에 나선데 이어 존 스노 재무장관은 이날 ABC의 '금주' 프로그램에 출연, "개인 계좌제 도입 없이는 사회보장 문제에있어서 공정하고 평등한 해결책을 결코 얻을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오는 2009년 부터 55세 이하 근로자들이 사회보장세금이 적용되는 소득의4% 까지 민간투자 계좌에 투자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부시 대통령의 계획을 거듭 지지했다. 스노 장관은 이어 사회보장 문제 해결을 위해 의회와 초당파적인 대화가 필요하다면서, 부시 대통령은 어떠한 아이디어도 들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관련, 공화당의 척 헤이글 상원의원은 은퇴 연령을 높이고 45세 이하 근로자에게만 개인 계좌를 갖게 하는 내용의 자체안을 마련, 의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한편, 민주당은 "개인 계좌제 도입은 곧 사회보장의 민영화를 의미하는 것이어서 부시 대통령이 이를 철회하지 않는 한 대화를 할 필요가 없다"며 반대 입장을 뚜렷이 하고 있다. 에드워드 케네디 상원의원은 이날 ABC에 출연, "부시 대통령은 민영화를 통해사회 보장을 파괴하려 하기 때문에 협상을 벌인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 면서 "만일부시 대통령이 민영화를 포기한다면, 전혀 다른 상황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바버라 복서 의원은 CBS '국가와의 만남'에 출연, 부시 대통령의 계획 대로라면 현재 7조7천억 달러의 빚에다 향후 20년 동안 5조 달러를 더 보태게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워싱턴=연합뉴스) 박노황 특파원 nhpar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