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제10기 전인대 3차회의를 열고 앞으로 성장보다는 안정과 균형발전에 역점을 두겠다며 올해 경제성장 목표를 8%,수출증가율을 15%로 각각 낮춰잡았다. 이는 긴축정책 의지를 분명히 한 것으로 귀추를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물론 중국의 긴축정책 기조가 새삼스런 것은 아니다. 지난해 4월 원자바오 총리가 긴축의지를 밝혀 세계 금융시장을 뒤흔들어 놓은 이른바 '차이나 쇼크'를 야기했고,10월에는 이례적인 금리인상까지 실시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수출이 34.5% 늘어났고 9.5%의 고성장을 기록했다. 때문에 올해 또 그같은 의지를 천명했다는 것은 보다 강력한 긴축정책을 구사하지 않겠느냐는 해석도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중국 정부의 의도대로 경제 연착륙이 이뤄진다면 중장기적으론 우리 경제에도 유리하다. 중국 경제규모가 워낙 커서 7~8% 수준의 성장만 지속돼도 우리의 수출과 투자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 만큼 중국의 긴축정책에 지나치게 과민반응을 보일 필요도 없다. 중국 경제의 거품이 빠지면 사상 최고수준인 국제원자재 가격이 안정돼 우리 경제에도 긍정적이다. 문제는 중국 경제가 급격히 둔화될 가능성을 배제할수 없다는 점이다. 실제 적지않은 국제전문가들이 과잉투자 및 국유기업과 금융기관의 부실 등 경제불안의 뇌관이 터지면서 중국 경제가 급격히 꺾일수 있다는 경고를 하는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최대 투자국이자 수출국이란 점에서 중국의 조그만 변화에도 신속히 대처하지 않으면 낭패를 볼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 기업들이 중국 투자를 보다 신중히 결정하고,4개 신흥경제국(BRICs)중 중국을 제외한 브라질 인도 러시아 등으로 수출과 투자를 다변화하는 노력도 기울여야 한다. 중국 경제가 둔화돼도 수출이 영향을 덜 받도록 지식재산권 보호나 제품의 고급화에 더욱 주력해야 함은 물론이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선 중국 정부가 강조하는 균형발전 정책을 적극 활용할 필요도 있다. 중국이 서부나 동북지역 개발과 농업부문에 대한 과감한 투자를 선언한 만큼 기업들로선 이쪽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을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이 금융정책을 시장중심으로 운용하겠다고 한 것도 시장경제에 익숙한 우리 기업들에는 유리한 여건이라고 할수 있다. 위기를 기회로 삼을수 있도록 중국의 변화를 그 어느 때보다도 예의주시해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