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일제 강제동원 희생자 유골봉환을 위한 사전단계로 일본, 중국, 러시아, 동남아지역에서 실태조사를 실시할 것을 일본 측에 제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실태조사후 본격적이고 구체적인 유골봉환 작업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정부 관계자는 28일 "현재로선 강제동원 희생자의 미발굴 유골이 얼마가 될 지 모르기 때문에 일단 실태조사를 먼저 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구체적인 자료를 소장한 일본 정부와 기업, 민간의 협조가 긴요하다"고 밝혔다. 현재 구체적인 자료는 없지만 일본 정부가 보관중인 유골 외에 일본 전역에 발견되지 않은 유골이 산재하고 있으며 태평양 전쟁 당시 격전지였던 중국의 하이난(海南)섬과 남태평양 도서, 시베리아 등지에도 미발굴 유해가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외교부가 지난 20일 비밀을 해제한 외교문서 `재일본 한국인 유골봉환, 1974'에 따르면 2차대전 중 일본 군인.군속으로 동원된 한국인은 약 24만2천여명으로 이 가운데 2만2천여명이 전사했다. 그러나 여기에 일본 민간기업에 징용됐거나 군 위안부 등으로 끌려갔던 사람들까지 포함하면 그 수는 헤아리기 힘들 정도로 많을 것으로 보인다. 한일 양국은 일제 강제동원 희생자 유골봉환 논의를 위해 오는 29일 서울에서 박준우(朴晙雨) 외교통상부 아시아태평양국장과 사사에 겐이치로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이 참석한 가운데 실무협의를 가질 예정이다. 한국 측은 이 자리에서 실태조사를 제의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한국 측 실무팀은 실태조사를 위한 사전작업차 다음달 중순 일본을 방문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양국간 유골봉환 실무협의는 작년 12월 노무현(盧武鉉) 대통령과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 一郞) 총리간 정상회담에서 유골문제를 원만히 해결한다는 데 원칙적인 합의가 이뤄진 후 처음 열리는 것이다. 당시 노 대통령은 광복 60주년이면서 한일 수교 40주년인 올해를 계기로 일본에 남아있는 강제동원 희생자 유골문제가 해결돼야 한다고 말했고 고이즈미 총리는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서울=연합뉴스) 인교준 기자 kjih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