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전동차보다 작고 무인운전이 가능한 지하경전철이 우이∼신설동 지역에 처음으로 도입된다. 서울시는 대표적인 대중교통 취약 지역인 우이∼신설동 지역에 신교통수단인 경전철을 2011년까지 지하로 건설하기로 했다고 26일 밝혔다. 이 지역에 도입되는 지하경전철 노선은 우이동 유원지에서 출발해 수유동, 미아동, 정릉동, 돈암동을 경유, 지하철 1호선 신설동역까지 전체 10.7㎞ 길이이다. 시는 그러나 종로구 등 자치구들에서 우이유원지∼방이동(4㎞) 구간을 포함해노선을 연장해줄 것을 건의해옴에 따라 타당성 검토를 벌이기로 했다. 우이동∼신설동 구간이 확정되면 정거장은 총 13개로 정거장 당 간격은 평균 870m이며 성신여대역(4호선), 보문역(6호선), 신설동역(1호선.2호선 지선)에서 기존지하철로 갈아탈 수 있다. 출퇴근 시간대에는 1∼2분 배차간격으로 운행되며 기점인 우이동 유원지에서 종점인 신설동까지 22분이 소요될 예정이다. 시는 이 지역 지하경전철 건설을 위해 지하철 건설비의 70%인 7천307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보상비를 제외한 건설비의 50% 이상은 민자로 유치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내년 상반기 민자사업자 선정 작업을 마치고 건설교통부 승인을 얻어 2007년 착공, 2011년 7월 개통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앞으로 지하철 혜택을 받지 못하거나 도로가 협소해 버스의 추가 공급이어려운 난곡∼신림 등 다른 지역에도 지형에 따라 경전철이나 간선급행버스체계(BRT)도입을 확대해나갈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경전철은 통상 8량 가량인 지하철 전동차에 비해 3∼4량으로 크기가 작고 첨단유도장치를 갖춰 무인운전이 가능하다"며 "지하철 건설비가 적게 들면서도 도입되면 교통환경개선과 지역개발 효과가 크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박창욱 기자 pcw@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