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오전 청주 고인쇄박물관 세미나실에서 열린 자치경찰제 설명회에는 경찰 등 300여명이 빼곡이 자리를 메워 앞으로 시행될 자치경찰제에 대한 관심을 나타냈다. 이날 양영철 지방자치경찰특위 위원장은 "인구 등 치안수요와 지역의 특성을 고려해 인력규모를 산정하고 소요인력의 반은 국가경찰에서 나머지는 새로 뽑겠다는 계획"이라며 "교통안전시설 담당 주체를 광역자치단체로 하는 문제나 각 자치단체마다 따로 복장을 결정하는 문제 등에 대해서는 협의중"이라고 설명했다. 양 위원장은 "올 하반기에 시범지역을 선정.운영한 뒤 내년 하반기에는 자치단체의 신청을 받아 전면 실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올 하반기부터 1년간만 시범실시를 할 수밖에 없는 측면이 있어 서두르는 감이 있지만 레임덕 현상 등을 고려할 때 참여정부 임기내에 자치경찰제를 정착시켜야 하는 입장"이라며 "미진한 부분은 차차 보완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설명이 끝나자 경찰청 및 일선 경찰서 소속 참석자들은 '자치단체에서 자치경찰제를 선택적으로 시행하다 반납할 경우 인력처리는 어떻게 되느냐', '일반공무원은 6급까지 자동승진하고 경찰은 그간 시험으로 승진했는데 직급체계는 어떻게 조정되느냐' 등 민감한 사안에 대해 질문했다. 양 위원장은 "국가 경찰은 그대로 국가경찰로 된다"며 "자치경찰이 국가경찰의 직급체계를 따라야 하느냐는 문제가 있어 총경과 서기관을 맞추는 문제 등을 두고 논의중이며 국가경찰이 손해를 보며 자치경찰로 올 수는 없기 때문에 인센티브를 검토하고 있다"고만 답했다. 이외에 산간 등 취약지역 문제, 1개 경찰서가 여러 자치단체를 관할해온 문제 등에 대한 질문이 이어졌으며 양 위원장은 "시범지역 중 취약지역을 선정해 보완해 나갈 것이며 자치단체 관할 경찰서 문제는 시도치안협의회 내부에서 정리해야 할 문제라고 본다"고 말했다. 이날 설명회에는 참석자들의 높은 관심에 비해 '논의중', '협의중'이라는 설명과 답변이 많아 아쉬움을 남겼으며 양 위원장은 "미진한 부분에 대해서는 보완해나갈 것"이라며 설명회를 마무리했다. (청주=연합뉴스) 백나리 기자 nariprett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