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찬(李海瓚) 총리가 `올해는 일을 해야 한다'는 메시지로 연초부터 공직사회를 바짝 다잡고 있다. 이 총리는 지난 20일 삼청동 공관에서 정부부처 차관 30명과 오찬을 함께하는자리에서 "올해는 집행하는 해"라면서 "일하는 것 밖에는 없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총리는 또 "정부정책은 골격이 잡혔고 지난해 법령들이 잘 처리됐으며 예산도 확보됐다"면서 "더욱이 선거도 없는 해여서 (정책집행에) 여건이 좋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민의 정부가 IMF(국제통화기금) 외환위기를 극복했다면 참여정부는선진국 진입의 기초를 닦아야 한다"면서 "올해가 의미있는 전환점이 될수 있도록 노력하자"고 독려했다. 그는 다음날 총리실 간부회의에서도 한 여론조사 결과를 제시, "국정지지도가 39% 가까이 상승했다"면서 "우리가 추진해온 국책사업의 기조대로 해나가면 더욱 상승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직원들의 의욕을 북돋웠다. 이 총리는 행정관료들의 의욕을 북돋우는 이같은 행보와 함께 `책임총리'로서핵심 정책에 대해 `될 것과 안될 것'을 구분해 방향과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도주목할 대목이다. 이른바 관료들이 일할 지대를 만들어주기 위한 고려가 아니냐는해석된다. 최근 연두 시.도 순회방문의 일환으로 대전을 방문했을 때, 이 총리는 신행정수도 후속대책으로 외교통상부.국방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행정기관이 옮겨오는 방안을처음으로 공개한데 이어 이날 저녁 당정 간담회에서 이같은 합의를 도출해 냄으로써후속대책의 가닥을 잡았다. 또 최근 부산과 광주 방문에서는 지역 인사들이 요구하는 `남부권 신공항'(부산)과 `호남고속철 조기 건설'(광주)에 대해 "아직은 시기상조", "장기적으로 결정할문제"라는 말로 분명한 선을 긋기도 했다. 관가에서는 이 총리가 올해 ▲종합투자계획 실행 ▲일자리 만들기 ▲공공기관지방이전 ▲한일협정문서 공개에 따른 일제시대 피해자 대책 ▲새만금 사업 대책 ▲원전수거물관리시설(원전센터) 설치 등 대형과제에 대해 이 같이 주도적 자세를 취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새해들어 점점 가속도를 붙여나가는 이 총리의 행보는 단지 신년 벽두의 기강잡기 차원이 아니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이 총리는 참여정부가 집권 3년차에 들어서며 강력한 리더십을 바탕으로 개혁과제들이 집행 단계로 접어들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짐작된다. 그는 참여정부에서 선진국으로 가는 `기초'를 닦아놓아야 한다는 지론처럼 개혁과제를 `청사진' 상태로만 내버려둘 수 없다는 판단을 하고 있는게 아니냐는 것이다. 최근 이 총리는 총리실 간부들에게 내년 지방선거를 앞둔 지방 공무원의 기강해이를 우려하면서 정부 차원의 공직기강 확립문제를 지적했다는 후문이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공직기강이 흐트러질 경우 참여정부의 `레임덕' 현상이앞당겨질 가능성이 있음을 염두에 둔게 아니겠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김화영기자 quintet@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