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김효석 의원에 대한 노무현 대통령의 교육부총리직 제의가 김 의원 고사로 불발로 끝났지만 정치적 파장은 적지않을 전망이다. 야당의 정책위 의장을 맡고 있는 의원에게 장관 자리를 제의한 것 자체가 극히 이례적인데다 여권 일각에서 열린우리당과 민주당의 합당을 모색하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향후 정계개편까지 염두에 둔 포석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당장 민주당이 강력 반발하고 나선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왜 교육부총리 제의했나=청와대측은 "역량을 고려한 제의"라며 정치적 해석을 경계했지만 정치권에서는 제의 배경을 놓고 여러가지 얘기가 나오고 있다. 우선은 오는 4월 재·보선을 겨냥해 정권에서 멀어져가는 호남 민심을 고려한 화해 제스처라는 해석이 나온다. 지난해 총선에서는 승리했음에도 불구하고 '호남 소외론'이 퍼지면서 최대 지지기반인 호남 지역에서 정부에 대한 민심이반 현상이 빚어졌고 이는 실제 지자체 선거에서 여당의 잇단 완패로 증명됐다. 이런 어려운 여건을 민주당에 대한 '러브 콜'을 통해 해소하려 했다는 것이다. 한 발 더 나아가 민주당과의 합당 등 정계 개편까지 고려한 '승부수'라는 시각도 없지 않다. 열린우리당의 국회 과반의석 붕괴가 초읽기에 들어간 상황에서 안정적 정국 운영의 대안을 민주당과의 합당에서 찾고 있다는 얘기다. 민주당은 합당 얘기만 나오면 펄쩍 뛰지만 당내에는 김 의원과 이낙연 의원 등 심정적으로 합당을 바라는 '친노(親盧)' 인사들이 있다는 점에서 통합 문제가 수면 위로 급부상할 수 있다. 이는 다음달 3일로 예정된 민주당 전당대회의 최대 이슈가 될 개연성이 없지 않고 극단적인 경우 당 내분사태로 비화될 수도 있다. 여권으로서는 크게 손해볼 게 없는 선택이라는 것이다. 한 관계자는 "호남에서 열린우리당과 민주당이 갈려 있는 것에 대해 부담스러워하는 여론이 있는 게 사실"이라며 "노 대통령의 부총리직 제의는 호남 민심의 반전을 겨냥한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김 의원 고사=김 의원이 끝까지 제의를 받아들이지 않은 것은 스스로 밝혔듯이 교육 전문가가 아니라는 점과 전당대회를 눈앞에 두고 있는 적절치 않은 시점 때문으로 보인다. 자신이 부총리직을 수용할 경우 예상되는 여러가지 정치적 파장도 고려한 것 같다. 실제 민주당은 다음달 전당대회에서 열린우리당과의 합당 반대결의문을 채택키로 하는 등 반(反)여권 정서가 비등한 상황이다. 당장 유종필 대변인은 '민주당 파괴공작'이라고 흥분했다. 이재창·박해영 기자 lee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