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이달말까지 마련하겠다고 공언한 '제2창당 수준'의 당 쇄신책의 밑그림은 무엇일까. 현재 당 선진화추진위(위원장 허태열 의원)와 여의도연구소에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환골탈태'를 선언한 만큼 정강·정책·당 시스템 등 모든 분야에 걸친 대수술이 예상된다. 당명 개정 방침은 이미 확정됐다. 그러나 쇄신책의 확정 과정에서 격렬한 노선투쟁이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기존 한나라당의 지향점과 다른 방안들이 상당수 포함돼 있어 보수파 의원들의 반발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쇄신책의 큰 틀은 차기 집권을 위한 지지기반 확대에 맞춰져 있다. '마(魔)의 지지율 30%'대를 넘어서려면 기존 보수층 위주의 지지 기반으론 한계가 있다고 보고 중도세력을 폭넓게 끌어들이는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중도 보수세력 결집에 나선 '뉴라이트 그룹'과의 연대를 모색하는 것은 이같은 맥락에서다. 젊은층 끌어안기에도 전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국가보안법의 이름을 바꾸고 정부참칭 조항을 전향적으로 개정키로 한 것은 젊은층의 지지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다. 이와함께 '선진화'라는 코드로 한나라당이 대안세력이 될 수 있음을 집중 부각시킨다는 복안을 갖고 있다. '호남 다가서기'에도 발벗고 나서고 있다. 이한구 정책위 의장은 6일 광주를 방문,△'남해안 경제축' 개발 △2012년 여수세계박람회 유치를 위한 특별법 제정 △호남고속철도의 조기 완공을 위한 지원 등을 약속했다. 대북정책과 관련,한나라당은 북한이 핵개발을 포기하면 대규모 지원에 나서는 '북한판 마셜플랜'을 추진하는 등 3단계 통일시안을 마련했다. 시스템 개편 방향은 다양한 당의 스펙트럼을 단순화시키는 것이다. 극좌와 극우세력을 배제한 중도보수세력 중심으로 당을 재편한다는 게 골자다. 경제 정책은 '정부 개입의 최소화·시장 존중'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러나 쇄신책이 본격 시동이 걸리기까진 '산넘어 산'이다. 국보법 문제나 대북 지원 등에 대해 보수파들이 반대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데다 소장파들은 오히려 더 전향적인 자세를 요구하고 있다. 쇄신책들이 당 내홍의 기폭제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은 이 때문이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