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준 전 서울대 총장이 새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에 임명됨으로써 각종 교육정책이 `개혁'에 무게를 두고 추진될 것으로보인다. 안병영 부총리가 `안정과 개혁의 균형'을 추구했다면 이 신임 부총리는 이 토대위에서 구조조정 등을 통해 대학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이공계 분야를 활성화하는데중점을 둘 것이라는 게 교육부 안팎의 전망. 반면 발탁 직후부터 일고 있는 자질론 등은 그가 교육계 신뢰를 바탕으로 교육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로 떠올랐다. ◆교육정책 어떻게 바뀔까 = 참여정부 초대 윤덕홍 부총리가 NEIS(교육행정정보시스템) 파동 등을 겪고 물러나면서 교육혁신 과제를 `차분히' 추진할 인사로 안 전부총리가 낙점됐다면 다시 이를 `좀 더 역동적으로' 추진할 인사로 대학 총장, 교육개혁위원, 대교협회장 등을 거치면서 추진력을 보여줬던 이 부총리가 적절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부총리는 4일 기자간담회에서 최우선 추진 과제로 "국내 대학이 세계 무대위에 올라갈 수 있도록 유인하고 입시를 통해 성적이 좋은 학생을 뽑기보다 훌륭한졸업생을 배출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직업교육 개혁, 교원 양성.평가체제 개편 등 전임 안 부총리가 마무리하지 못한정책에 대해서는 "시간은 다소 조정될 수 있겠지만 참여정부에서 추진하는 교육혁신의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EBS 수능강의 등 사교육 경감대책은 "더 효율적으로 발전시킬 것"이라고 했고 고교등급제와 기여입학제, 본고사를 금지하는 소위 `3불(不) 원칙'은 "기조는 유지돼야 하며 자율성이 확대되고 대학이 세계에 나가 경쟁할 수 있는 체제가 되면 교육부가 나설 일도 아닐 것"이라고 설명했다. 교육계 신뢰회복, 공교육 정상화, 교육복지 확대, 창의성.인성교육 강화 등에도무게를 뒀다. 따라서 이 부총리는 다른 분야에서는 기존 정책을 유지하면서, 특히 서울대 총장 시절 그랬듯 국내 대학 전반에 강력한 개혁과 구조조정의 메스를 댈 것이라는 게교육부 쪽의 예측이다. ◆풀어야 할 과제는 = 일단 그의 발탁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는 여당이나교원단체 등과의 관계 개선이 새 부총리가 풀어야 할 최우선 과제다. 이들이 이 부총리의 총장 시절 대기업 사외이사 겸직, 과다한 판공비 사용 등에대해 도덕성 문제를 거론하고 있을 뿐 아니라 과도한 경쟁논리 도입 등으로 `신자유주의 교육정책'이 표면화될 가능성 등을 우려하고 있기 때문. 교총 등 교원단체는 "교육부총리는 교육계의 수장으로 능력 못지 않게 도덕성이중요한 자리인데 도덕성 시비가 끊이지 않았던 인사를 임명한 것은 매우 실망스러운일"이라고 논평했다. 지난해 교육계를 뜨겁게 달궜던 평준화 논쟁, 고교등급제 공방 등이 교육주체간갈등에서 비롯됐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교육계 신뢰 회복이 급선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 부총리가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한발짝도 나갈 수 없는 셈. 그가 이런 지적에 대해 "모자라고 부족한 점이 있어 그런 일이 일어났다는 점을인정하며 다시 안생기도록 노력하겠다"고만 언급, 취임 이후 업무 추진력 등을 보고평가해달라는 의중을 내비쳤으나 교육계가 이를 수긍할 지는 미지수이다. 아울러 총장 재직 때에도 교수회나 총학생회 등과의 갈등이 심했던 점을 감안하면 이를 어떻게 풀어가느냐가 각종 현안에 대한 갈등을 조정하고 봉합해야 할 교육계 수장으로서의 성패를 가름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는 "교원단체는 공교육이 정상화되도록 노력한다는 차원에서는 교육부와 차이가 없다고 생각하며 많은 분들의 의견을 들어 정책을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강의영 기자 keyke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