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기업들은 경영활동을 하는데 가장 어려운 점으로 '자금조달' 보다는 '기술인력 확보'를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정부가 벤처기업 활성화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한국갤럽에 의뢰, 전국 1천개 벤처기업들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경영활동상 어려움으로는 '기술인력확보'를 꼽은 응답자가 34.7%로 가장 많았다. 다음은 원자재 가격 급등(16.3%)이었으며 개발자금 조달(15.9%), 금융기관 차입(10.8%) 순이었다. 또 경영상태에 대해서는 현재 30.5%가 나쁘다고 답변했지만 69.3%가 내년에는좋아질 것이라고 응답했다. 벤처기업 지원을 위해 필요한 제도는 정책자금 확대(42.7%), 신용보증 확대(24.0%), 조세지원제도 개선(12.4%) 등을 지적했다. 코스닥시장 제도 개선을 위해서는 상장요건 완화(39.3%), 연기금 등 투자확대(25.4%), 불공정거래 규제 강화(16.5%) 등을 제시했다. 코스닥의 상장요건이 벤처기업 특성을 반영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보통'(58.0%)이라는 응답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잘못 반영'(23.5%), '잘 반영'(14.9%) 등의응답도 있었다. 코스닥 우선 퇴출기업으로는 적자기업(54.0%), 자기자본 잠식(29.7%), 매출액부진(7.2%), 주식거래 부진(4.0%) 등이 꼽혔다. 코스닥 퇴출제도의 문제점으로는 퇴출우려 기업에 대한 사전예고 미흡(41.4%),부실기업의 퇴출지연(32.0%), 획일적 퇴출(10.2%) 등이 지적됐다. 코스닥기업의 거래소 이전에 대해서는 '허용하되 이전요건을 강화해야 한다'는반응이 39.3%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일정기간 이전 제한'(28.4%), '자유롭게 허용'(28.1%) 등의 의견이 있었다. 코스닥기업의 가격제한폭은 '거래소와 동일한 수준으로 하자'는 응답이 46.8%로절반에 가까웠고 '거래소 보다 높게'는 10.7%, '현행 수준 유지'는 35.7% 등이었다. 제3시장의 호가중개 시스템의 제도 개선 사항으로는 수요기반 확충(40.5%), 매매제도 개선(19.9%), 진입.퇴출 요건 개선(19.0%), 세제개선(12.0%) 등의 의견이 제기됐다. 제3시장에 진입하지 않는 이유로는 자금조달 효과 미미(43.0%), 환금성 제약(28.0%), 공시의무 등 관리비용 부담(8.6%) 등이 꼽혔으며 55.4%의 벤처기업은 제3시장의 투자자금 회수방안이 마련되면 진입하겠다고 밝혔다. 신용보증기관 이용 때의 어려움은 매출액 위주의 보증액 산정(46.1%), 낮은 보증한도(13.9%), 과도한 연대보증(9.6%) 등이 문제로 지적됐다. 실패한 벤처기업인에게 재기의 기회를 주기 위한 패자부활시스템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80.4%가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나 16.7%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답했다. 패자부활시스템의 보완장치로는 보증기관과 대출기관의 정기적인 사후관리(35.4%), 외부 회계감사(27.1%), 경영정보 공시(23.5%) 등이 제안됐다. 벤처기업을 위한 조세지원으로는 개인주주의 배당소득 인하(45.4%), 비과세 증권저축 도입(21.6%), 기관투자자 주식양도차익 비과세 확대(10.0%) 등이 제시됐다. (서울=연합뉴스) 김대호기자 daeh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