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증가를 막기 위해 대다수 중국인들을 대상으로 실시중인 중국 정부의 한자녀 갖기 가족 계획 정책이 강요, 강제 유산, 유아살해, 심각한 남녀비율 불균형 등 인권 침해의 근원이라고 미 국무부 고위 관리들이 14일 경고했다. 이들은 14일 미 하원 국제관계위원회가 개최한 청문회에 출석, 이같은 견해들을밝혔다 청문회에 출석한 저명한 중국 인권 운동가 해리 우도 "한자녀 정책이 오늘날 중국에서 가장 널리 퍼져 있는 인권 침해의 근원"이라고 밝혔다. 이날 청문회는 1980년대에 중국 정부 정책에 어긋나게 두번째 아이를 임신한 뒤정신병원에 보내지고, 유산을 강요당하고, 일자리도 빼앗기고, 노동수용소에서 징역형을 살며 고문까지 당하고 있는 상하이(上海)출신 여성 마오헝펑에게 초점이 모아졌다. 미 국무부의 민주주의, 인권, 노동 담당 마이클 코작 차관보 대리는 중국 정부의 마오에 대한 학대는 중국 정치 체제의 4가지 심각한 인권 침해들을 극명하게 드러내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그 4가지로 ▲강제적인 가족 계획 ▲노동수용소 활용 ▲정신병원 내 강제감금 ▲고문을 들었다. 국무부의 인구, 난민, 이민 담당 아더 듀이 차관보도 "중국의 가족 계획 법과정책들이 가혹하게 강제적인 요소들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인권 운동가 해리 우는 중국 광둥성(廣東省)의 2003년 문건을 인용, 35일내로 1천369명에 대한 불임 시술, 818건의 피임용 자궁내 링 시술, 163명에 대한 유산 수술을 완료하지 않으면 월급을 절반으로 감봉한다는 통지가 당 서기들과 마을지도자들에게 하달됐다고 폭로했다. 듀이 차관보는 중국이 "강제적 출산 계획이 중국에 극도로 부정적인 사회적, 경제적 및 인권 침해 결과들을 가져온다는 것을 이해하기 시작했을지도 모른다"는 약간의 고무적인 신호들이 있기는 하다고 덧붙였다. (워싱턴 AP=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