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청은 2일 철도노조의 총파업에 대비한 비상수송 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철도청은 노조가 3일 파업에 들어가면 대체인력과 비조합원을 동원, 고속열차는평상시의 80%(112대 중 98대), 일반열차는 35%(497대 중 174대), 전동열차는 58%(1천618대 중 764대), 화물열차는 14%(411대 중 58대)의 운행률을 유지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여객열차는 KTX를 중심으로 일반열차와 연계해 운행하고 수도권 전동차는 출.퇴근 시간대에 집중 배치하기로 했다. 화물열차는 수출입 컨테이너, 철강 등 주요 화물 수송열차를 중심으로 운행하고철도노조와 화물연대가 동시에 파업에 들어갈 경우에는 일반열차 운행을 축소하고화물열차를 증편할 계획이다. 또 파업으로 열차 운행이 중단되면 승차권은 수수료 없이 전액 반환한다. 철도청 관계자는 "차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비상수송대책본부를 설치, 24시간 비상근무체제에 돌입한 상태"라며 "파업으로 인한 국민불편에 대비해 대체인력 등을총동원해 열차를 최대한 운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원만한 타결을 위해 파업시한까지 노조와의 교섭에 최선을 다하되 노조가 파업을 강행하면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대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철도노조는 공사전환에 따른 근무체계 변경(24시간 맞교대→3조 2교대)을위한 인력충원, 철도 공공성 확보, 해고자 복직 등의 요구사항이 관철되지 않을 경우 3일부터 총파업에 들어갈 계획이다. (대전=연합뉴스) 윤석이 기자 seoky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