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로가도 서울만...' 결과만능의 산물..'전문가 진단'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문가들은 조직적인 휴대폰 커닝,대리시험 등 끊임없이 불거져 나오고 있는 수능 부정사건을 '모로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는 식의 결과중심 주의와 정의롭지 못한 수단을 사용하는 것을 용인하는 사회풍토가 빚어낸 '합작품'이라고 진단하고 있다.
그들은 수능 이외에 학생들의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기준이 만들어져야 하고 부정행위에 대한 엄격한 사회적 제재도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미나 서울대 교수(사회교육)는 "방법이야 어떻든 성공하기만 하면 된다는 출세 지향적 가치관이 팽배한 데서 비롯된 문제로 바라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그동안 우리 사회에서는 교육,특히 대학이란 관문이 인생의 모든 것을 결정짓는다는 식의 인식이 강했다"면서 "이 같은 상황에서는 부정행위에 가담한 학생뿐 아니라 어느 누구라도 부정행위를 저지르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병민 서울대 교수(영어교육)는 "커닝,대리시험 같은 부정행위는 이조 과거시험 때부터 문제가 됐던 사회문제로,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라며 "특정 시기 특정한 과목의 평가를 통해 사람의 능력을 평가하는 제도가 존재하는 한 부정행위 문제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다"고 지적했다.
손봉호 동덕여대 총장은 "이번 수능 부정행위의 큰 원인은 정직하지 못한 일을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고 쉽게 용인해주는 우리 사회의 문화에 있다"고 지적했다.
손 총장은 "유럽 등 선진국의 사례를 들지 않더라도 건강한 사회라면 그릇된 행동에 대해서는 엄격한 사회적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면서 "하지만 우리 사회는 모든 분야에서 남을 속이거나 정직하지 못하다는 행동을 너무도 쉽게 용인해주는 경향이 짙다"고 말했다.
손 총장은 "결국 이 같은 부정행위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법과 제도를 강화해 잘못된 행동에 대한 책임을 엄격히 지우는 게 현 상황에서 취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라고 말했다.
송형석·이태명 기자 clic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