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외국어고나 과학고 등 특수목적고 설립취지에 맞지 않는 학과나 집중이수과정 개설이 금지되고 외국어고는 전공의 50% 이상을 `주전공'으로 채워야 한다. 교육인적자원부는 특목고가 명문대 또는 유망학과 진학을 위한 입시기관으로 변질됐다고 판단,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특수목적고 정상화 방안'을 확정해 24일 발표하고 이달말 원서를 접수하는 2005학년도 신입생부터 적용하기로 했다. 따라서 내신 상대평가를 도입하는 `2008학년도 이후 대입제도 개선안'과 맞물려특목고 출신이 일반 전형으로 대학에 입학하려면 일반고 출신에 비해 엄청난 불리함을 감수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대학이 특목고 출신을 선발하기 위해 관련 전형을 확대하거나 내신 원점수만 반영하면 정상화 방안도 별무효과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특수목적고는 설치 목적에 맞게 운영해야 = 정상화 방안의 골자는 특수목적고를 그 설립 취지에 맞게 운영하도록 한다는 것. 이에 따라 해당 분야 소질과 적성을 갖춘 인재를 선발할 수 있도록 입학전형 방법부터 개선했다. 교과성적 위주 선발방식을 지양하고 각종 기록물과 실기, 실험.실습, 구술.면접등을 활용한 다단계 전형을 실시하도록 하는 동시에 일부 외국어고에서 실시했던 수리형 문항 중심의 편법적 구술.면접을 금지하기로 한 것. 각종 경시.경연대회 수상실적도 반영하지 않도록 권장되고, 학원과 연계한 입시설명회 개최 등 직.간접적 사교육 조장 행위도 장학지도 대상이 된다. 또 전문교과에 한해 총 이수단위의 10%를 늘려 편성할 수 있도록 하고 설치학과이외의 별도 집중이수과정 등도 개설하지 못하도록 11월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을수정 고시할 예정이다. 따라서 외국어고의 경우 216이수단위 가운데 재량.특별활동을 제외한 192단위를기준으로 10%, 즉 19단위 이내에서 수학.과학 위주 교과를 가르쳐 왔으나 내년 신입생부터 외국어 관련 교과만 증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외국어고는 전문교과(82단위 이상) 중 `주전공' 이수 비율을 50% 이상으로확대하도록 했다. 아울러 2008학년도 이후 대입제도 개선안과 연계해 특목고생을 위한 `동일계 특별전형'을 도입해 외국어고는 어문계열, 과학과는 이공계열로 진학할 경우에만 혜택을 주기로 했다. 물론 특목고 출신 이외의 학생도 이 전형에 지원 가능하다. 교육부는 이밖에 예.체능계 고교에 대해서는 수능 최저지원자격기준을 완화하고학생부 및 실기 위주로 선발하도록 유도하고 실업계 고교는 정원외 특별전형(3%)을실시하도록 적극 권장하기로 했다. ◆특목고생 대학입시서 불리해지나 = 김영윤 교육부 학교정책과장은 "이 방안이시행되면 특목고는 `입시기관'이 아니라 본래 목적대로 해당 분야 우수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으로 자리잡게 되고 특목고 진학을 위한 사교육 수요도 상당부분 해소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교육부는 특목고가 설립 취지에 맞게 운영될 때까지 수정되는 교육과정 지침에대한 지도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따라서 이 방안이 시행돼 외국어고 등에서 전문교과와 관계없는 수능 과목 위주수업에 제동이 걸리고 새 대입제도가 확정돼 내신 상대평가가 실시되면 특목고 출신은 대학입시에서 일반고 출신에 비해 크게 불리해질 수 밖에 없다는 게 입시 전문가들의 평가다. 학교 수업의 대부분이 전문교과에 치중돼 수능 과목을 제대로 배울 수 없는데다`석차 9등급제'가 실시되면 어떻게든 학생들을 아홉줄로 세워야 하기 하기 때문. 게다가 새 대입제도를 정착시키기 위해 교육부가 특목고를 집중 감시 대상에 올릴 것이 확실해 `변칙적인' 교육과정 운영이나 수업도 상당기간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지금도 주요 사립대 등이 특목고생 등을 선발하기 위해 점수 부풀리기가석차백분율보다 심한 평어(評語, 수.우.미.양.가)를 반영하고 내신의 비중을 최소화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대학이 같은 방식으로 2008학년도 이후에도 원점수만 활용하거나 내신 비중을 더 낮춘다면 크게 불리할 게 없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또 동일계 전형이 아닌 다른 유형의 특별전형을 통해 특목고생 끌어모으기에 나설 가능성도 있어 이 방안의 성공 여부는 대학에 달려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서울=연합뉴스) 강의영 기자 keyke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