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005930]는 60나노 공정을 이용해 8기가낸드플래시 메모리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20일 발표했다. 또 80나노 공정으로 2기가 DDR2 D램과 세계 최고속인 667㎒ 모바일CPU도 세계처음으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황창규 삼성전자 반도체총괄 사장은 이날 서울 신라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이렇게 밝히고 "앞으로 `퓨전 메모리'를 차세대 성장엔진으로 선정해 메모리와 시스템LSI의 동반 성장을 가속화하겠다"고 선언했다. 지난해 4기가 낸드플래시를 개발한 데 이어 1년만에 8기가를 개발함으로써 `1.5년만에 용량(집적도)이 2배가 된다'는 `무어의 법칙'을 깨고 황 사장이 발표한 `메모리 신성장론'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고 삼성전자는 의미를 부였다. 머리카락 굵기의 2천분의 1인 60나노 기술이 처음 적용된 8기가 낸드플래시는 용량은 2배로 늘었지만 크기는 3분의 1로 줄었다. 8기가 낸드플래시 제품은 최대 16기가 바이트의 메모리카드를 만들 수 있어 디지털 캠코더의 데이터 저장용으로 쓰이면 DVD급 화질로 16시간 이상의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고 MP3 파일 기준으로는 340시간 분량의 저장이 가능하다. 고화질 영화 10편, MP3 음악 4천곡, 신문 102만4천장을 담을 수 있는 셈이다. 삼성전자는 또 기존 80나노 기술을 적용해 2기가 DDR2 D램 개발에 성공함으로써최소 65나노급 이하의 첨단기술을 적용해야 2기가 용량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는 업계의 통념을 깼다고 설명했다. 자체 개발한 3차원 트랜지스터 기술과 신개념 아키텍처 기술을 이용해 설계 및 공정기술을 통해서도 용량 확대가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2기가 DDR2 SD램 제품을 내년부터 양산할 계획이며, 최대 8기가 바이트 모듈 제작을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대용량 메모리 모듈이 필요한 서버 및 워크스테이션에 주로 탑재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실시간으로 대용량 데이터 처리가 필요한 동영상 회의, 원격 의료시스템, 쌍방향 통신, 3차원 그래픽 등 차세대 정보통신 혁명에 한발짝 가까이 다가서게 됐다는 분석이다. 667㎒ 모바일 CPU는 PDA, 스마트폰 등 차세대 모바일 기기의 성능을 크게 높일수 있는 제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130나노의 공정기술이 적용된 이 제품은 동작전압 1.35V로 3차원 그래픽을 위한좌표연산, PDA 및 스마트폰의 그래픽 처리, 디지털 오디오 처리, 3차원 게임 능력이 크게 높아졌고 특히 64KB의 대용량 캐쉬메모리를 내장해 고용량 멀티미디어 서비스처리 능력도 좋아졌다. 황 사장은 "모바일 경쟁력을 바탕으로 수년 안에 세계 최고의 반도체회사로 성장하는 것이 중장기 목표"라며 "세계 1위 품목인 D램, S램, 플래시, 디스플레이구동칩에 이어 올해 멀티칩패키지(MCP)에서 1위에 오르고 2007년까지는 스마트카드칩,모바일 CPU, CMOS 이미지센서, SoC 분야에서도 최고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올해 연결 재무제표를 기준으로 70조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서울=연합뉴스) 공병설기자 k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