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 일본 등 3국은 지난 6월 제3차6자회담에서 미국이 제의한 `3개월간'의 핵동결 준비기간을 연장하는 방안을 적극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동결을 요구해온 북한의 농축 우라늄에 대해서도 무기로 전용가능한 `고농축우라늄'이라는 표현을 하지 않음으로써 북한의 입장을 배려할 것으로 알려졌다. 10일 아사히(朝日)신문에 따르면 3국은 이날 도쿄(東京)에서 열리는 북핵관련 3자회의에서 이런 방침을 확인, 이달 말 개최를 추진중인 제4차 6자회담에 임할 계획이다. 일본 외무성 고위 간부는 미국은 지난 6월 3차회담에서 북한이 핵포기를 약속하고 모든 핵시설을 폐쇄, 봉인하는데 필요한 준비기간으로 `3개월'을 제의했지만 "3개월이라는 기간에 구애받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아사히는 또 3국이 동결대상에 `고농축 우라늄'을 명시하지 않기로 한 것은 북한이 인정하기 쉽도록 하려는 계산에 따른 것이라고 풀이했다. 한편 3자협의에 참석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중인 이수혁(李秀赫) 외교통상부 차관보는 9일 저녁 야부나카 미토지(藪中三十二)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과 가진 양자협의에서 80년대초 실시된 플루노늄 추출 실험에 대해 "플루토늄 문제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협력해 투명성을 유지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제임스 켈리 미 국무부 동아태담당 차관보도 이 차관보, 야부나카 국장과 만찬을 함께 한 자리에서 "한국이 추출실험 사실을 발표한 것은 잘한 것"이라면서 "북한도 보고 배우기 바란다"고 말했다.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는 한국의 플루토늄 추출실험에 대해 "사실관계를 밝히고 IAEA와 잘 협의해야 한다"고 말해 한국에 적절한 대처를 촉구했다. (도쿄=연합뉴스) 이해영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