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인적자원부의 대학구조개혁 방안 발표에 대해 지방대학들은 구조조정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올 것이 왔다'는 위기감을 내비쳤다.

특히 서울지역 대학은 대체로 교육부 방안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으나 구조개혁의 목표가 될 지방의 신생 사립대들은 사학에 대한 정부의 지나친 간섭을 경계하고 있다.

한 사립대 관계자는 "구조개혁의 방향 자체는 옳다"면서도 "구조조정의 큰 틀을 제공하는 선을 넘어 전임교수 비율,교수 1인당 학생수 등 구체적인 수치까지 제시하고 그에 대해 제재조치를 취하는 것은 지나친 간섭"이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부산 동아대 관계자는 "정부의 일방적 구조개혁은 심각한 위기에 처한 지방 사립대에 치명적인 위협일 수 있어 각 대학의 입장을 충분히 고려한 뒤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구조조정을 추진할 수밖에 없다는 데는 대부분 공감하고 있다.

대구대 관계자는 "백화점식 학과 운영이 아닌 경쟁력있는 학과를 중심으로 과감히 통폐합해 교육의 질을 높이는 쪽으로 대학을 운영해 나갈 계획"이라며 "이 과정에서 상당한 진통이 예상되지만 살아남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