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2006년부터 개인 병력(病歷)이 전산 관리된다.

환자의 모든 질병ㆍ진료 정보를 컴퓨터에 입력해 어떤 병원을 가든지 그 자료를 토대로 치료를 받을 수 있게 하는 방안이다.

보건복지부는 25일 진료 전산화를 통한 '종이없는 병원'을 조기 구축하기로 하고 병원 용어 표준화와 질병별 코드화 등 기초작업과 더불어 각 병원 간 개인 진료 자료를 공유할 수 있는 전송표준망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개인자료에는 각종 진료 기록과 약 처방 내역, 의사 소견 등 환자의 몸 상태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이 담기게 된다.

이렇게 되면 환자 상태를 처음부터 살펴보기 위한 불필요한 진료가 없어지게 된다.

환자들은 자신의 몸 상태나 과거 병력에 대해 일일이 설명할 필요가 없어지며 짧은 시간에 질 높은 진료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모든 병원의 '주치의화'가 이뤄지는 셈.

복지부는 현재 서울대 분당병원에서 진료 전산화를 구축, 시범 실행중인 '종이없는 병원'을 2006년부터 일부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시범 실시한 뒤 단계적으로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진료 전산화가 이뤄지면 평생건강관리체계가 구축될 수 있을 것"이라며 "국민 질병관리에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진료 전산화 로드맵을 조만간 내놓을 것"이라고 밝혔다.

진료 전산화가 되면 전체 총 진료비 가운데 10% 정도가 절감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진료 전산화에 참여하는 병원에 대해서는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관계자는 "진료 전산화가 실시될 경우 개인 질병에 대한 보안대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혜수 기자 dears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