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북방한계선(NLL) 침범사건 조사와 관련해 일부 언론에 정보 당국의 분석보고서를 유출한 사람은 박승춘 합참 정보본부장(육군 중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기무사는 20일 오후 박 본부장을 상대로 군 기밀 유출 혐의로 강도 높은 조사를 벌였다.

박 본부장은 일부 언론사 기자에게 보고 채널을 해명하는 과정에서 보고서를 유출시킨 것으로 전해졌다.

군 당국은 보고 누락 경위에 대한 대통령의 재조사 지시 후 군 기밀사항이 유출된 데 대해 청와대측이 심각한 우려를 표시함에 따라 유출 경위 조사에 착수했다.

정부 합동조사단의 재조사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대북 정보수집을 총괄하는 정보본부장이 군기밀 유출 당사자로 밝혀짐에 따라 정보본부장이 의도적으로 언론을 이용했다는 의혹이 일고 있다.

이와 관련,국방부는 "유출된 내용은 NLL 침범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나 유출내용,유출자 등에 대해서는 조사 중이며 아직 확증된 것은 없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청와대는 이날 북한군의 서해 NLL 침범사건 조사과정에서 군과 여권이 대립하는 듯한 양상을 보이는 가운데 일부 군 기밀까지 유출돼 보도되자 국방부에 엄중 경고의 뜻을 전달했다.

청와대는 노무현 대통령이 재조사 지시를 내린 바로 다음날 재조사 취지를 무색하게 할 수도 있는 해군 함정간의 교신내용이 자세히 공개된 것은 '국기 문란'에 해당할 수 있다며 강한 우려를 표시했다.

여권 일각에서도 조영길 국방부 장관과 김종환 합참의장 등 군 수뇌부에 대한 대대적인 물갈이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윤광웅 청와대 국방보좌관은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대통령이 지시한 조사의 취지가 왜곡 보도되고 일부 기밀사항이 유출되는 사태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한다"며 "이번 사건의 본질은 '남·북 교신'이고,이게 상부에 제대로 보고됐는지일 뿐 그 이상도,이하도 아니다"라고 밝혔다.

청와대는 그러나 지난 14일 남·북 함정간 교신기록이 노출되자 즉각 조 장관에게 전화를 걸어 경위를 따져물었고 이에 따라 국방부는 이날 유출 경위에 대한 자체조사에 들어갔다.

윤 보좌관은 재조사를 조기에 매듭지을 방침을 밝힌 뒤 군 관계자 문책 범위에 대해서도 "책임소재를 가려 책임이 있으면 책임을 묻고 없으면 없는대로 마무리한다"고 말해 '선(先)조사,후(後)문책' 방침을 분명히 전했다.

김수찬·허원순 기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