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준영 전남지사가 후보자 당시 정책답변서에서전국공무원노조(전공노) 전남본부를 협상 파트너와 진정한 동반자로 인식하겠다고답변한 것으로 밝혀져 전남도청 직장협의회(직협)의 거센 반발을 사고 있다. 박 지사가 이같은 답변을 할 당시는 전공노 차원에서 박 지사 상대인 민모 후보에 대한 수의계약 의혹이 줄기차게 제기된 상태여서 도청 직협을 철저히 배제한 답변의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전남도청 직장협의회는 8일 "박 지사가 전공노 전남지역본부의 후보자 정책질의항목중 공무원 노동기본권 관련 항목(4번)에서 "당선된다면 전공노와 성실하게 단체교섭에 임하고 협약체결에 서명하겠느냐'는 물음에 '하겠다'고 답변했다"고 밝혔다. 도청 직협은 또 "박 지사가 전공노 전남본부를 도정 수행의 진정한 동반자로 인식하고 주요 공약 및 도정에 대한 의견을 적극 반영하겠다(8번)는 답변도 했다"고말했다. 도청 직협 관계자는 "이는 전남도의 단체협상 파트너가 도청 직협이라는 것이상식인 데도 전공노를 협상 테이블에 앉혔다는 것은 그 배경에 의구심이 들지 않을수 없다"고 주장했다. 도청 직협은 이날 이와관련한 성명을 통해 "지사가 대화 파트너로 전공노 전남지부를 생각하는지 아니면 도청 직협을 생각하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며 서운한 감정도 숨기지 않았다. 도청 직협은 또 "잘못된 답변으로 위상이 실추된 직협의 위상제고 대책수립과 박 지사의 5대 공약이 공약(空約)이 되지 않도록 계획 단계부터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라"고 요구했다. 이처럼 도청 직협이 신임지사와 첫 대면도 전에 답변서를 두고 반발한 것은 직협 배제에 따른 위상 실추와 주도권 상실 우려, 전공노에 대한 지나친 배려 견제 등이 깔려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대해 보궐선거 당시 박 지사 정책팀을 맡았던 강신일 박사는 "당시 정책 관련 질의서가 많아 정확한 기억을 할 수 없으며 이 답변은 내가 한 것 같지 않다"고말했다. (광주=연합뉴스) 송형일 기자 nicepe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