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 조성된 대부분의 생태 통로가 서식지를 이어주는 야생동물의 이동경로라는 단순기능 밖에 수행하지 못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7일 대구지방환경청이 최근 발간한 `야생동물 이동통로의 설치현황과 국내외 설치사례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국내 생태통로의 설치 현황을 조사한 결과 현재 국내에는 육교형 10개와 터널형 29개 등 모두 39개의 생태통로가 설치돼 있다. 이 가운데 경북 문경시 마성면 신현리 국도 3호선에 설치된 육교형 통로의 경우주변 경관에 치우친 나머지 위치가 적절치 못할 뿐 아니라 야생동물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의 폭이 3.3m에 불과해 중.대형 동물의 통행이 어려운 것으로 분석됐다. 전남 구례군 지리산 국립공원을 지나는 861번 지방도의 경우에도 단절 구간이 무려 23㎞나 되지만 생태통로는 지리산 시암재에 단 한 곳에만 설치돼 이 일대에 서식하고 있는 야생동물이 이용하기에는 턱 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이밖에 강원도 원주의 중앙고속도로에 설치된 터널형 생태통로도 입구가 외부에노출돼 있고 통로 내부에 은신처도 설치되지 않아 야생동물의 통로로서 기능을 하기가 어렵다는 분석이다. 이처럼 국내 생태통로들이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이유는 야생동물의 습성 등에관한 연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채 형식적으로 통로를 설치했기 때문이라고 대구지방환경청은 지적했다. 대구지방환경청은 유럽과 같이 국가수준의 생태네트워크, 광역수준의 네트워크,기초지역 수준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생태통로' 설치지역을 선정하고 환경부의 `생태네트워크 구축 추진 전략'이 완성되는 2012년 이전까지는 지방환경청과 광역자치단체, 지역 자연보전단체 등이 연계해 야생동물 보호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구=연합뉴스) 이덕기 기자 duc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