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6일 노르망디 상륙작전 60주년 행사에 초대된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의 파리 방문을 앞두고 프랑스 정부가 이번 주 들어 파리 중심가에서의 시위를 금지하고 있다. 2일 파이낸셜타임스 인터넷 판은 이 조치로 프랑스 내의 반미.반부시 감정이 숨겨지는 것은 아니지만 프랑스와 미국 관계를 개선하려는 자크 시라크 프랑스 대통령의 의지를 강조하는 효과는 있다고 분석했다. 양국 정상의 만남은 지난해 사담 후세인 이라크 대통령 축출 직후 프랑스 에비앙에서 열렸던 G8(선진 7개국+러시아) 정상회담에서 보였던 불편한 모습으로 대표돼왔다. 그 때의 앙금이 채 가시지 않았던 올 초 부시 대통령은 노르망디 상륙작전 기념행사 참석 여부를 확정하지 못했고 참석을 확정한 후에도 프랑스 내에서는 최소한의외교적 격식만 차릴 것으로 예상돼왔으나 그 후 양국 화해분위기가 이어지면서 이번에는 양국 정상간 비공식 만찬도 성사됐다. 그러나 프랑스 관리들은 내심 부시 대통령이 나치 독일 치하의 유럽을 해방한노르망디 상륙작전과 이라크전.테러와의 전쟁을 드러내놓고 관련시키지 않기를 바라고 있다. 부시 대통령과 시라크 대통령은 지난 달 25일 전화통화를 통해 다시 한번 양국화해의 분위기를 드러냈지만 노르망디 상륙작전 기념행사나 최근 미국이 추진하고있는 새 이라크 결의안 등은 대화 주제가 되지는 않았다. 따라서 양국 정상이 이번 만남에서 이라크 주권이양 계획이나 이를 담은 이라크결의안에 대해 어떤 의견을 주고받을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시라크 대통령은 이미 '허울뿐인' 이라크 주권 이양에는 반대하며 6월30일 이후에는 이라크 임시정부가 석유자산과 치안 등도 직접 통제하는 실질적인 주권이양이돼야한다는 입장을 강조한 바 있다. 이밖에 이라크 치안확보를 위한 프랑스의 이라크 파병문제, 지난 해부터 제임스베이커 부시 대통령 특사가 노력 중인 이라크 대외부채 탕감문제, 일방적인 이스라엘 지지 등 프랑스가 반대하고 있는 미국의 중동정책 전반 등도 논의될 전망이다. (서울=연합뉴스) 조채희 기자 chaeh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