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전자제품 가운데 과감한 투자를 통해 기술및 디자인 개발에 성공한 제품은 수출이 크게 늘어난 반면 그렇지 못한 품목은 수출이 상당 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 4월까지 휴대전화를 비롯한 무선전화기 수출은 55억2천만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42.5% 증가했고 모니터 수출도 72.7% 늘어난 26억4천만달러를 기록했다. 컬러TV 수출증가율(괄호안 수출금액)은 85.6%(17억3천만달러), 냉장고 24.6%(4억4천만달러), 세탁기는 26.7%(2억6천만달러)였으며, 올들어 내수판매가 30-40% 줄어든 에어컨도 수출이 12.3%(7억9천만달러) 늘었다. 진공청소기 수출도 21.6% 증가한 1억4천만달러에 달했다. 반면 컴퓨터 수출은 34.1% 감소한 3억3천만달러, VCR은 22.4% 줄어든 2억3천만달러였고, 전자레인지 수출도 1억4천만달러로 30.4% 줄었다. TV와 모니터 수출이 올들어 기록적인 증가율을 보인 것은 고가의 국산 LCD 및 PDP TV가 적절한 투자를 바탕으로 1.4분기에 유럽 및 북미시장 점유율이 2-3위에 오르는 등 시장의 주도권을 잡았기 때문으로 업계는 분석했다. 가격이 일반 컬러TV의 6배에서 20배에 달하는 LCD 및 PDP 기술개발에 이어 대량생산을 위한 투자가 알맞은 시기에 이뤄졌기 때문이라는 것. 휴대전화기 시장의 경우 이미 많은 나라에서 성장기를 지나 성숙기에 들어섰지만 삼성전자를 비롯한 국내 업체들의 고급화, 고가화 전략이 먹혀 들었고, 세탁기와냉장고도 고가의 드럼세탁기와 양문형 냉장고의 해외판매 호조로 수출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반면 중국과 동남아시아 등지로 생산시설이 대거 이전한 컴퓨터(3억3천만달러)와 전자레인지(1억4천만달러) 수출은 올들어 각각 34.1%와 22.4% 감소했다. 또 최근 빠른 속도로 DVD로 대체되고 있는 VCR(2억3천만달러)도 22.4% 줄어든것으로 나타났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세계 전자제품 시장의 성장률이 5% 안팎인 점을 감안할 때국산 전자제품의 수출 호조는 엄청난 선전"이라며 "그러나 해외 공장이전이 이뤄지거나 기술력에서 시대에 뒤떨어진 일부 분야는 수출이 큰 폭으로 줄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공병설기자 k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