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정부 2期' 청와대 직제 개편] 문재인 역할에 관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6일 단행된 청와대 비서실 개편은 현 정부 들어 네 번째다.
수석ㆍ보좌관급 이상에서는 2개직 폐지, 2개직 신설로 자릿수가 같지만 비서관은 48명으로 8명(20%) 증가해 비서실의 덩치가 훨씬 커졌다.
또 15개월이 채 못되는 기간에 네 차례 바뀌면서 "비서실 개편과 인사가 너무 잦은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일선 업무 담당 비서관의 세분화로 노무현 대통령의 '친정체제'가 강화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놓는다.
◆ 정책실 강화가 개편 핵심 =그동안 박봉흠 실장-권오규 정책수석 단일 체제의 정책실은 김영주 김성진 김창순 비서관이 각각 정책기획과 거시ㆍ금융, 산업, 사회정책을 담당해 왔다.
이번에 사회정책수석이 새로 생겼고 비서관은 9명으로 3배 늘었다.
특히 국정과제위원회에 있던 농어촌 및 노동비서관이 정책실로 전진 배치됐고, 부처 업무 개선과 각종 정책 관련 민원을 담당하던 참여혁신수석실 비서관 3명도 박 실장 아래로 들어감에 따라 정책실 조직이 크게 확대됐다.
신설된 사회정책수석에는 이원덕 노동연구원장이 기용됐는데 권재철 '노동개혁태스크포스담당' 비서관이 '노동비서관'이라는 새 직함으로 이 수석 아래 배치됐다.
청와대 관계자는 "사회(비경제)정책이 경제논리에 밀려선 안된다는 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고 사회정책수석 신설 배경을 설명했다.
교육문화비서관도 신설돼 정책실은 정무 홍보 등을 제외한 이전 정부의 전체 비서실과 유사한 모습으로 커졌다.
정책실의 비서관들은 부문별로 '소(小)수석'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과거 청와대의 부처 통할시스템이 부활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행정 각 부처 업무를 바탕으로 대(對)국회, 당정 관계까지 맡은 박 실장에게 힘이 더 실리게 됐다.
◆ 문재인 전 수석 복귀 주목 =문 전 민정수석은 복귀를 사양하다 청와대의 거듭된 요청을 받아들여 시민사회수석을 새로 맡았다.
이 때문에 이날 인사 발표도 두 차례로 나눠졌다.
민정수석 때 '왕수석'이란 별명이 붙은 바 있는 문 수석은 탄핵심판에서 변호인단 간사역을 맡아 노 대통령의 신임이 각별하다.
문 수석 아래 생긴 사회조정1ㆍ2ㆍ3 비서관은 업무 구별 없이 주요 갈등 현안이 생길 때마다 차례대로 일을 맡아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조율하게 된다.
명칭이 시사하는 것처럼 앞으로 국내외 주요 사안에 대한 시민단체(NGO) 등의 영향력은 계속 커질 전망이다.
다만 청와대는 시민사회수석실 신설에도 불구하고 총리실과 부처에서도 기본적인 조정 기능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 비서관 인사 17일 발표 =정무 기능이 김우식 비서실장 아래 놓여지고 각종 주요 회의 업무를 담당할 업무조정비서관도 김 실장 산하에 신설됐다.
정무 기능과 관련, 청와대 관계자는 "열린우리당의 의견 전달은 문희상 당선자(전 비서실장)가 담당할 것"이라고 말해 정치권과 청와대 관계에서 김 실장의 역할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대통령 직속으로 리더십비서관과 연설비서관이 신설돼 이주흠 외교부 심의관(드골의 리더십과 지도자론 저자), 강원국 홍보수석실 행정관 등이 내정됐다.
상근 부대변인에는 김종민 홍보수석실 행정관이, 민정비서관은 전해철 변호사가 내정됐다.
정무, 정무기획, 시민사회1ㆍ2ㆍ3 비서관 등에는 노 대통령의 부산 인맥인 정윤재 설동일 송인배씨와 정태호 정무팀 행정관 등이 거명된다.
공석인 외교보좌관에는 위성락 NSC 국장의 파격 발탁과 장재룡 외교부 본부대사가 오르내린다.
허원순 기자 huhws@hankyung.com